이란 정부, 인터넷 접속 차단…총선 앞두고 국민 감시하나?

이란 정부가 국민의 인터넷 사용을 차단하는 조치를 내렸다고 로이터가 21일 보도했다. 로이터는 어처구니없는 조치의 배경이 국민 통제라고 밝혔다.

인터넷 차단은 20일부터 이뤄졌다. 이메일 이용은 물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시큐어소켓레이어(SSL) 기반 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다. SSL은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보안 기술이기 때문에 사실상 인터넷 사이트 자체를 차단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로이터는 익명을 요구한 인터넷 기술 전문가 말을 인용해 “이메일과 프록시, https로 시작하는 모든 보안 경로를 사용할 수 없다”며 “가상사설망(VPN)이 작동하지 않아 접속 상황은 최악”이라고 전했다.

많은 이란 국민은 해외 뉴스 사이트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접속할 때 보안 당국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VPN을 사용한다. 이란에서는 앞서 지난 9일부터 나흘 동안 이메일과 SNS가 차단된 바 있다.

로이터는 인터넷 차단 이유가 내달 2일 총선을 앞두고 국민 감시를 강화하려는 조치라고 풀이했다. 이란 정부는 지난 2009년 대선 이후 반정부 세력이 시위 조직에 SNS를 활용하자 종종 인터넷 접속을 차단해왔다.

장동준기자 djj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