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계 원로 "창조경제 실현, 과학기술 인프라부터 챙겨야"

과학기술계 원로들이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재 양성, 창업 생태계 구축과 같은 인프라에 먼저 투자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과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벤처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의미다. 과학기술계 현장과 문화를 직시해야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과기계 원로 "창조경제 실현, 과학기술 인프라부터 챙겨야"

김시중 과학기술포럼 이사장은 22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과학기술포럼 194회 월례토론회`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재 양성은 너무 하드웨어 측면만 강조해왔다”며 “소프트웨어(SW) 인재를 기르기 위한 생태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10여년 전 과학기술처 장관을 역임한 김 이사장은 “당시 SW 발전방향을 국가 프로젝트로 만들어 추진했지만 부처가 갈라지고 합쳐지면서 흐지부지해졌다”며 “과학기술과 ICT785 융합을 주창하는 미래부에서는 SW 인재 양성에 강력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애플과 삼성 특허 전쟁을 사례로 든 김 이사장은 “기술 분쟁이 모두 SW 경쟁력이 부족한 데서 시작됐다”고 덧붙였다.

창조경제는 벤처기업을 통해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지금 정책으로는 벤처 창업을 활성화 시키기 역부족이란 것이 그의 생각이다.

김 이사장은 “벤처기업은 항상 자금 때문에 어려운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제대로 된 기술 가치평가 시스템”이라며 “젊은 과학 기술자의 아이디어 가치가 적정 수준으로 평가 받을 수 있어야 기술 매매와 벤처 활성화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ICT와 과학기술 융합을 모색하는 미래부도 도마에 올랐다.

박승덕 과우회 명예회장은 “융합을 통해 시너지를 내려는 미래부의 최근 행적을 돌아보면 과학기술과 ICT를 선으로 긋고 한쪽으로만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며 “과학기술계가 뒷전이라는 비판도 크다”고 지적했다. 박 명예회장은 “과학기술계 연구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그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융합의 첫걸음”이라며 “과학기술과 ICT 융합, 타부처와 협력 등을 통해 과학기술계가 소외받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박재문 미래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이 참석해 내년도 주요 정책방향을 설명하고 지난해 주요 성과를 발표했다. 방송통신위원회70 출신으로 과기부의 핵심 보직인 연구개발정책실장을 맡게 된 그가 첫 행보로 과학기술계 원로들의 의견을 수렴한 셈이다. 박 실장은 “과학기술과 ICT 인재 양성 종합계획이 추진되는 만큼 올해부터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인재 양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는 SW 인력 양성 시행계획. 제2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및 기반구축 종합계획 등을 바탕으로 창조경제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집중했다”면서 “올해부터 제 3차 여성과학기술인 양성·지원 기본계획 등 과기 인재 양성과 ICT 인재 양성 종합계획 등 ICT 인재 양성을 접목해 범정부 차원에서 인재 양성 전략과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