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부터 기업과 정부부처에서 제안한 창조경제 프로젝트 가운데 파급효과가 큰 사업은 민관합동으로 기획·실행에 들어간다. 민관합동 창조경제 추진단이 업무를 시작하면서 민간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가 뒷받침하는 `맞춤형 패키지` 작업이 이뤄질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7일 서울 광화문 KT빌딩에서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이 킥오프 회의를 개최하고 본격적으로 업무를 가동했다고 밝혔다. 회의는 추진단이 지난 13일 공식 출범한 이후 추진단 미션을 공유하고 민관 협력 프로젝트를 발굴·추진하기 위한 세부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추진단은 `민간 기업의 주도 아래 창조경제를 실현하고 지방으로 창조경제를 확산하는 구심체`로 역할을 정했다. 민간과 지방에서 `보톰업(Bottom-up)`으로 과제를 제안하면 정부는 `창조경제 민관협의체`와 `창조경제위원회` 등에서 뒷받침하는 방식이다. 추진단은 지금까지 민관 간, 부처 간 보이지 않은 벽 때문에 단편적으로 접근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민관과 부처를 아우르는 전주기·종합적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성장동력 과제는 기업과 연구소에서 파견 나온 전문가 의견에 따라 과거 기술과 연구개발(R&D) 위주 계획에서 탈피한다는 방침이다. R&D, 정부조달, 제도·규제, 금융, 인프라 구축 등 산업화를 위해 필요한 모든 정책 수단을 포괄하는 맞춤형 패키지로 계획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다.
회의에서는 정부 측 박항식 단장(미래부 창조경제조정관)과 민간 측 이승철 단장(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은 “우리경제가 퀀텀 점프(대약진)를 하려면 민간이 창의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내고, 정부는 신속하게 법률, 제도 등으로 뒷받침해야 한다”는데 뜻을 같이 했다.
박 단장은 “올해 3월까지 기업·관계부처 등 각계로부터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필요한 프로젝트를 제안 받아 구체적이고 파급효과가 큰 프로젝트를 발굴·기획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단장은 “민간이 잘할 수 있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 할 수 있는 산업 위주로 프로젝트를 발굴하여 붐업을 일으키고 이를 점차 다른 분야로 확산시켜야 한다”고 사업방향을 밝혔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
권동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