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IT기반 재난관리시스템 `안전과 경제` 두마리 토끼 잡는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광역시 주요 재난 대응사업 및 조직개편 현황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재난 예방 및 대응 관리시스템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첨단 재난 안전망 구축 필요성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안전 분야를 미래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포석이다. 시민 안전과 지역경제 활성화 연계가 핵심이다.

부산시는 올해 초 첨단 ICT 기반 통합재난관리시스템 ‘스마트 빅보드’를 구축했다.

스마트 빅보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과거 비슷한 재난과 현상황을 일괄 분석해 현 재난에 종합적이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지난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개발했고, 전국 최초로 부산시에 무상 지원 형태로 제공했다.

부산시는 이를 지역 상황에 맞춰 부산형 통합재난관리시스템으로 개선해 적용했다. 시청에 이어 올해 말까지 15개구·군으로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지난 2월 ‘안전융합산업 연구기반구축사업’에 착수했다. 서대구산업단지 내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안전융합기술연구소 설립 등 안전융합산업 시험연구기반을 마련하는 내용이다.

‘안전융합산업’은 재난과 재해, 범죄 예방 등 안전 분야에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 등을 접목해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다. 현재 세계시장 규모가 1조2000억달러로 ICT, 사물인터넷(IoT)과 결합해 급속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대구시는 오는 2018년까지 서대구산단 재생사업과 연계해 안전융합산업 육성을 지원할 시험연구기반을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대전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지난달 ‘지하공간 안전감시기술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에 착수했다. 싱크홀 등 지하 공간에 발생하는 문제를 조기 감지하고, 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시범 사업이다.

대전시와 ETRI는 정부출연연이 협업해 개발 중인 ‘지하공간 감시기술’을 대전 도시철도 두 개 역사 일부 구간에 적용, 기술 효과성과 실용성을 검증한다.

대전시는 이에 앞서 유치한 국토교통부 ‘지하 공간 통합지도 시범구축사업’과 연계해 안전융합사업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울산시는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산단 현장 실태조사를 통해 ‘위험 물질 추적시스템’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지역 내 산단 특성과 사고유형 등을 분석해 ‘산업단지 안전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마련, 내년부터 적용해 나갈 예정이다.

백점기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세월호 이후 현재 메르스 사태까지 겪으며 첨단 ICT 기반 재난안전 분야에 대한 관심은 계속 높아지고, 재난안전 분야를 산업화로 연계하려는 움직임도 확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자체 재난 안전관리 조직 신설과 규모도 대폭 확대되고 있다.

부산시는 올해 초 시민안전국을 신설해 분산돼 있던 재난안전부서를 통합했다. 시민안전국은 재난 분야와 대응 기능별로 전담과를 두고 재난 예방과 발생에 전문적으로 대응한다. 지자체 중 처음으로 원자력 안전 전담부서도 신설했다.

대구시는 지난달 재난안전 현장 대응력 강화를 위해 2급 재난안전실을 신설했다. 재난안전실은 산하에 안전정책관, 안전관리과, 사회재난과, 자연재난과, 민생사법경찰과를 두고, 예방은 물론 재난 발생에 따른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에 나선다.

대전시는 재난안전 전담조직으로 시민안전실을 신설한다. 4개과에 12담당(총66명)으로 구성될 시민안전실은 재난에 선제적 대응과 시민 안전 총괄, 중앙-지방 간 재난안전 협조체계 확립 등 안전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표. 광역시 주요 재난 대응사업 및 조직개편 현황 * 자료:각 지자체 취합>


표. 광역시 주요 재난 대응사업 및 조직개편 현황 * 자료:각 지자체 취합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