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그룹, 전기차 충전인프라 통합한다...현대차와 인프라 경쟁

폭스바겐그룹이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공유, 시너지를 낸다. 모든 전기차가 폭스바겐그룹 충전 인프라 이용이 가능하지만 아우디, 폭스바겐, 포르쉐 등 그룹사 차량에 대해선 할인 요금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7일 서울 이마트 성수점 포르쉐 충전소 모습.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폭스바겐그룹이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공유, 시너지를 낸다. 모든 전기차가 폭스바겐그룹 충전 인프라 이용이 가능하지만 아우디, 폭스바겐, 포르쉐 등 그룹사 차량에 대해선 할인 요금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7일 서울 이마트 성수점 포르쉐 충전소 모습.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폭스바겐그룹이 아우디·포르쉐·폭스바겐 개별 브랜드 간 충전 인프라를 통합, 본격 확충에 나선다. 충전시설은 타사 브랜드 전기차에도 개방하지만 자사 고객에게 할인 요금을 적용해 경쟁력을 기른다는 계획이다. 다른 완성체 업체와 달리 완속 충전기까지 구축하면서 오는 2025년까지 500개를 웃도는 자체 충전 인프라를 확보한다. 현대차그룹 전기차 충전소 '이핏'(E-pit) 등 완성차 업체 간 충전인프라 확대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아우디·포르쉐·폭스바겐은 이르면 올해 말부터 전국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통합 운영한다.

현재 충전 인프라를 경쟁사에 개방 운영하면서 차등 요금제를 적용하는 건 이핏을 운영하는 현대차·기아가 있지만 완속까지 구축에 나선 건 폭스바겐그룹만의 차별화 전략이다. 접근성을 높이려는 전략이다. 이용 편의성 향상이 기대된다.

폭스바겐그룹은 정부 지원 없이 국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한다. 자체 예산으로 추진하는 만큼 그룹사의 전기차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요금 차등 정책을 적용한다. 서비스센터를 제외한 모든 충전 인프라를 경쟁사 차량에도 개방하지만 폭스바겐그룹 차량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일반 고객 대비 30% 안팎의 요금 할인이 예상된다.

아우디가 공개한 아우디 충전 허브. 올 하반기 독일에서 운영을 시작한다. 300KW 초고속 충전기 6기를 갖추고 있다. 지붕에 위치한 태양광패널은 낮 시간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충전해 운영 효율성을 높인다.국내 설치 계획은 아직 없다.
아우디가 공개한 아우디 충전 허브. 올 하반기 독일에서 운영을 시작한다. 300KW 초고속 충전기 6기를 갖추고 있다. 지붕에 위치한 태양광패널은 낮 시간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충전해 운영 효율성을 높인다.국내 설치 계획은 아직 없다.

아우디는 브랜드 간 충전 로밍 서비스 제공에 앞서 충전 인프라 확대 계획을 내놓을 예정이다. 올해 말 고성능 전기차 'e-트론 GT' 'RS e-트론 GT'를 국내에 출시하면서다. 320㎾ 초급속 충전기 20~30기와 완속 충전기 100기 이상을 단계적으로 확대 구축한다. 현재는 서울 성수동을 비롯해 남천·금정(이상 부산)·광주·천안(충남)·분당(경기) 등 6곳에서 320㎾ 초급속 충전기, 전국 전시장과 서비스센터 35곳에 150㎾ 급속 충전기를 각각 운영하고 있다.

아우디코리아 고위 관계자는 “아우디는 e-트론 GT가 270㎾ 고출력 충전을 지원하는 만큼 이에 맞는 충전 인프라를 계속 늘려 갈 것”이라면서 “아직 폭스바겐이 국내에 전기차를 출시하지 않았지만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개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룹 내 가장 먼저 충전 인프라 구축에 나선 포르쉐와의 시너지도 기대된다. 포르쉐는 고성능 전기차 '타이칸'을 출시하면서 전국 9개 포르쉐 서비스센터에 320㎾ 초급속 충전기를 설치하고 2025년까지 완속 충전기를 250여개 설치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2022년 보급형 전기차인 'ID.4' 출시를 예고한 폭스바겐도 올해 안에 전기차 충전기 인프라 구축 계획을 수립, 발주할 예정이다. 고성능 전기차에 집중하는 아우디·포르쉐와 달리 보급형 전기차를 먼저 시작하는 만큼 인프라 공유에 대한 수혜를 가장 크게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아우디와 포르쉐는 충전 인프라 구축·운영을 외부 업체에 맡기고 있다. 국내 전기차 충전기 제조 및 서비스업체인 대영채비다. 그룹사 간 로밍 서비스 구현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완성차 업체가 자체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차등 요금을 도입하는 전략은 앞으로 확산할 것”이라면서 “완성차 업체의 충전 인프라 확보 경쟁도 가열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