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E 35GW 시대 열렸지만 태양광 '일변도', 보급은 '감속'

2023년 기준 발전원별 누적 설치량, 자료=전력거래소 (단위:MW)
2023년 기준 발전원별 누적 설치량, 자료=전력거래소 (단위:MW)

국내 신재생에너지 누적 설비용량이 35GW에 육박했다. 원자력발전소 35기에 해당하는 수치로 액화천연가스(LNG)·석탄 화력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로 성장했다. 다만, 태양광 발전 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아 보급 속도는 해가 갈수록 둔화할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력 시장에 등록된 신재생에너지 누적 설비 용량은 30GW를 넘어섰다.

지난해 12월 기준 누적 설비 용량은 31.4GW(3만1378MW)로 전년 28GW(2만7962MW) 대비 3.4GW(3416MW) 증가했다. 이는 전력계통에 접속해 전력을 판매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총량이다. 즉 자가용을 제외한 상업용만 반영한 수치다. 자가 신재생 설비는 2021년 기준 3.1GW다. 이를 감안하면 총 신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은 지난해 35GW를 넘어섰을 공산이 크다.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지난 2020년 처음으로 20GW를 넘어선 지 3년 만에 30GW를 넘어섰다. 전체 전력 설비 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7%까지 증가했다.

에너지원별로는 태양광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지난해 말까지 상업용 기준 총 24GW(2만3943MW)가 설치, 전체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76.3%를 차지했다.

풍력발전은 지난해 처음으로 누적 설치량 2GW를 넘기며 뒤을 이었다. 2022년 1.9GW(1893MW)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 2.2GW(2151MW)까지 증가했다. 다만, 비중은 6.9%에 불과했다. 태양광이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첨병 역할을 했지만 높은 의존도는 부담으로 지적된다.

신재생에너지 연간 신규 설치량은 지속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설치량은 2020년 4.6GW(4554MW)로 정점을 찍은 뒤 이듬해 3.9GW(3949MW)를 시작으로 3.5GW(3468MW), 3.4GW(3416MW)를 기록하며 3년 연속 하락했다. 특히 지난해 신규 설치량은 2018년 이후 가장 작았다.

태양광 신규 설치량이 줄어든 것이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2020년 4GW(4070MW), 이듬해 3.6GGW(3586MW)를 찍은 뒤, 2022년과 지난해 각각 2.8GW(2817MW), 3GW(2968MW)로 떨어졌다.

현재, 신재생을 비롯한 신규 발전 사업 허가가 계통 포화를 이유로 2030년 이후로 미뤄지는 상황을 고려하면 향후 신재생에너지 보급 속도는 더 빠르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기존 '2030년 신재생 발전량 30%' 목표를 21.6%로 현실화하고 태양광·풍력 발전량 비율도 87대 13에서 2030년 60대 40으로 조정한 바 있다. 이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보다 과감한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시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따른다.

안형근 건국대 교수는 “계통 포화 문제로 신재생을 비롯한 발전원의 보급 속도 조절이 불가피하다”면서 “계통 부담을 더는 분산 전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가소비용 목적의 사업을 개발, 확대하고 어려움을 겪는 대형 풍력 사업이 원활히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