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4억 규모 정보자원 통합 1차 사업 발주된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1454억원 규모 2024년도 '제1차 범정부 정보자원 통합 구축 사업'이 발주된다.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은 올해 제1차 범정부 정보자원 통합 구축 사업을 내달 발주하고 사업자 선정 작업에 착수한다. 중앙부처에서 필요로 하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보안장비 등 정보자원을 도입하는 것이 골자다. 통계청 등 21개 기관, 69개 업무시스템 등을 통합 구축한다.

제1차 사업은 하드웨어(HW) 1부터 4까지 4개로 나눠 추진된다. 사업 규모는 각각 564억원, 235억원, 303억원, 352억원으로 책정됐다.

핵심 추진 과제로는 △클라우드 전환 가속 및 지능형 인프라 확대 △노후장비 적기 교체 및 중요 시스템 이중화 △장애 확산 방지를 위한 위험 분산형 구조 적용 △장애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강화 △다중지역 동시 가동 체계로 인프라 복원력 제고 △정보자원 설계 체계 개선 △고품질 및 고효율 통합 사업 추진 등이 제안됐다.

그동안 각 부처는 중요 시스템을 개별 구매해왔다. 국정자원은 예산을 일괄 편성, 중복 투자를 막고 고성능 장비를 구매한다. 내용연수를 경과했거나 기술지원 서비스 종료 등 노후도 높은 장비를 적기 교체해서 부처 서비스를 안정 운영하는 인프라를 보강한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과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해서 국가 IT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구축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이에 맞춰 클라우드 인프라 보강을 핵심 사업으로 추진한다.

사업 수행사는 국정자원에서 구축해 운영 중인 클라우드 서비스 'G클라우드'와 G클라우드 내 SDDC 기반 클라우드 영역인 S존 설계 기준을 준수해서 기존 지능형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설계서를 보완·제출해야한다.

또 기존 환경에 적합한 지능형 클라우드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구축이 완료되면 국정자원이 운영하는 클라우드 통합 관리시스템과 연계해야 한다.

사업 수행사는 인프라 및 자원풀을 구축해서 G-CMS, M-클라우드, CMP 등 통합 관리시스템 외에 nSIMS, nTOPS 등과도 연계해야 한다. 노후장비 교체 자원을 기존 자원풀과 연계해 구성하고, 기존 자원을 재배치해야 한다.

클라우드 업무 전환 방안도 제시해야 한다. 클라우드로 구축되는 부처 업무시스템을 G-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한 구조로 설계·구축해야 한다.

행정망 장애 등 유사시 대비책도 마련해야 한다. 국정자원은 사업 수행사에 제조사 권고 방식과 최신 안정화 버전 소프트웨어(SW)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설계·구축하고, 물리 서버 장애 시 업무시스템에 자동 기동 설정을 요구했다.

1차 사업에는 대신정보통신과 쌍용정보통신, 인성정보, 세림티에스지 등이 입찰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관계자는 “오는 7월 초에 사업자 선정을 마무리하고, 이후에 2차 사업을 발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