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교원창업으로 폴리페놀팩토리를 세워 '그래비티' 샴푸를 창출한 학내 연구진이, 관련 핵심기술의 탈모 예방 효과를 입증했다.
그래비티 샴푸에 적용된 천연 폴리페놀 일종 '탄닌산'이 탈모를 완화시키는 '접착 중재자'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KAIST는 이해신 화학과 교수팀이 탄닌산 기반 코팅 기술로 탈모 완화 기능성 성분을 서서히 방출하는 새로운 탈모 예방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탄닌산이 모발 주요 단백질인 케라틴과 결합해 모발 표면에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을 입증했으며, 특정 기능성 성분을 방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살리실산(SCA), 니아신아마이드(N), 덱스판테놀(DAL) 등 탈모 완화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 조합을 개발하고, 이를 '스캔달(SCANDAL)'이라 명명했다.
연구 결과, 탄닌산과 결합된 스캔달 복합체는 수분과 접촉해 점진 방출되며, 모발 표면을 따라 모낭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협력한 굿모나의원(원장 이건민) 연구팀이 탄닌산·스캔달 복합체를 포함한 샴푸를 12명 탈모 환자에게 7일간 적용한 결과, 모두에게서 탈모 감소 효과가 관찰됐다. 평균적으로 56.2% 모발 탈락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최대 90.2%까지 탈모 감소 사례도 확인됐다.
이해신 교수는 “탄닌산은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단백질과 강하게 결합해 생체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이어 “모발과의 결합 및 탈모 완화 성분 전달을 위한 최초 사례로 그래비티 샴푸에 적용했다”며 “얇은 모발 강도를 획기적으로 늘리는 샴푸, 곱슬머리를 피는 제품 등의 제품화도 노력하고 있다 ”고 전했다.
김은우 KAIST 화학과 박사과정이 제1 저자로, 이해신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 인터페이스' 1월 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