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반도체 등 첨단산업 필수 원료로 활용되는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에 범부처·기관 역량이 결집한다.
정부(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부·외교부)는 18일 에너지 자원 및 수출 무역 관련 공공기관과 합동으로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 출범 회의를 개최하고 국내·외 핵심광물 투자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협의회에 참여한 기관은 광해광업공단·지질자원연구원·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에너지공단·KOTRA 등이다. 여기에 민간 협단체로 해외자원산업협회가 함께 했다.
금번 협의회 출범은 지난해 12월 발표된 '공급망 안정화 기본계획'과 올해 1월 '25년 경제정책방향'의 후속 작업이다. 정부는 협의회를 통해 민간 중심의 유망 핵심광물 투자 프로젝트를 발굴한다. 이어 공급망안정화기금 투자를 비롯한 해외자원개발조사, 융자(광해광업공단·에너지공단), 해외투자보험(무역보험공사) 및 공급망컨설팅지원(KOTRA) 등 기존 지원제도를 포괄하는 민관협력 종합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공급망안정화기금은 올해부터 연간 500억원 수준에서 핵심광물에 대해 민관 공동투자를 추진하고, 연도별 수요에 따라 지속·장기투자로 이어간다. 핵심광물 투자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꾸준히 장기 투자로 이어지도록 적극 뒷받침할 예정이다.
그간 정부는 '핵심광물 확보전략('23.2)'을 통해 정부간 협력채널 구축·운영, 해외자원개발 조사·융자 지원 등 민간의 핵심광물 확보를 간접적으로 지원해 왔다. 하지만, 직접투자 지원 수단이 없고 지원 사업간 연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앞으로는 공급망안정화기금과 동 협의회를 통해 우리 기업의 핵심광물 확보 프로젝트에 직·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지원사업간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민간의 자원개발사업 성과를 제고할 예정이다.
현재 우리 정부는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Minerals Security Partnership) 의장국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활용해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와도 연계하여 채굴·가공 등 다양한 해외 핵심광물 투자 사업에 참여하는 우리 기업들을 적극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동 협의회는 해외자원산업협회와 한국광해광업공단이 공동간사로 운영한다. 향후 분기별 1회 개최를 원칙으로 하되 필요시 수시로 개최함으로써, 유망 프로젝트를 발굴·지원하고, 정부 지원제도의 개선방안 등도 논의할 계획이다.
조정형 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