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가 글로벌 톱5 해양도시를 향한 해양 디지털 이니셔티브(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부산시는 박형준 시장 주재로 18일 부산 영도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제22차 부산미래혁신회의'를 열고, 3대 전략 9개 과제로 구성한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부산 전략'을 발표했다. 비전은 '바다에서 시작하는 새로운 대한민국,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부산 도약'이다.
제1 전략은 '해양 주도권(이니셔티브) 선점, 글로벌 해양중추도시 조성'이다. 세부 과제로 정부 정책에 발맞춰 해양수산부 및 해양 공공기관 통합 이전, 해사전문법원 부산 설립, K-해운선사 부산 이전을 추진한다. 부산 북항 일원 해양복합타운(해양 행정타운, 해양금융, 해양 특화첨단산업단지)과 우암동 해양산업클러스터(해운·항만산업 특별구역), 영도 동삼혁신지구(KIOST 등 공공기관 집적)를 연결해 부산 전역을 아우른 트라이 오션서비스 시티를 조성한다.
제2 전략은 '해양 디지털 경제, 패권국가 도약'이다. 해양신산업 선도 분야 확대, 해양산업 인공지능(AI)대전환(AX), AI 인재 육성을 세부과제로 추진한다. 글로벌 해양신산업 시장을 선도할 선제적이고 구체적인 사업을 발굴하고, 부산 해양 데이터특구·데이터AI 인프라를 토대로 스마트양식·항만 등 해양산업 AX에 집중한다.

제3 전략은 '세계를 바꿀 새로운 흐름, 블루이코노미 선도'다. 세부 과제는 북극·녹색해운 항로 거점항 조성, 블루이코노미 구현, 글로벌 해양경제 거버넌스 확대다. 부산항을 북극·녹색 해운 항로 거점항으로 육성하고 국가해양생태공원 '에코 블루마린 부산'을 조성한다.
박형준 시장은 “대한민국 해양 중추 기능을 강화할 중앙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환영한다. 부산은 지금까지 바다에서 새로운 미래를 만들고자 다양한 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왔다”며 “부산은 국가 해양 첨단기술 테스트베드로서 대한민국이 해양 경제 강국으로 도약할 핵심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박 시장을 비롯해 김인현 고려대 법학대학원 교수, 강중규 한화오션 전무, 이형철 한국선급 회장, 김용민 부산지방변호사회 회장, 김영득 부산항만산업총연합회장 등 해양 분야 민간 전문가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 한국해양과학기술원장, 부산항만공사 사장, 해양진흥공사 사장, 부산연구원장, 부산테크노파크 원장,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장 등 유관기관장이 참석했다.
부산=임동식 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