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 기사 썸네일
    한국형 인공지능 어디로 가야 할까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과 화학상 수상자는 정통 물리학과 화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AI) 분야의 연구자들이 수상했다. 물리학과 화학을 전공한 연구자가 아닌 AI 분야 연구자가 수상했기에 노벨위원회에서도 역사적으로 고무적인 일로 기록됐다. 올해 들어서도 최대 화두

    2025-05-14 16:00
  • 기사 썸네일
    소비자는 이미 합리적인 소비로 전환했다

    과거를 이해하면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대략 5년 전만 해도 국내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의 신년사 화두는 디지털전환(DX)이었다. 팬데믹으로 공급체계가 붕괴되면서 무인·자동화로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스마트팩토리 구축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2025-05-13 16:00
  • 기사 썸네일
    산림청 산불 속 조용한 영웅들을 위한 종합적 응원, '천사(1004) 캠페인'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소개된 '변화를 위한 천사(1004) 캠페인'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캠페인은 대형 산불 현장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일하는 산불진화대원들, 특히 산림청 소속 인력들의 노고와 헌신을 알리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을 촉구하는 내용

    2025-05-13 14:27
  • 기사 썸네일
    AI 정책 컨트롤타워 신설 시급

    6월 3일 대통령 선거일이 공지되면서 대선정국으로 온 나라가 들썩이고 있다. 촉박한 일정 속에 개헌 등 큰 그림 그리는 논의만 진행 중이고 국민이 먹고 사는 민생 관련 정책들을 논의할 분위기는 아닌 듯하다. 6월에 들어설 새 정부는 인수위원회도 없이 급조된 조직과 정책

    2025-05-12 16:00
  • 기사 썸네일
    실무 현장에 필요한 비즈니스용 AI 프롬프트 템플릿 설계 중요성

    이제 기업의 다양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챗GPT, 그록, 클로드, 클로바와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는 더 이상 '참고 도우미'가 아니라 실행형 파트너로 진화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바로 비즈니스 도메인별 프롬프트 디자인 능력이 있다. 예를 들어 보자. 다음은 중견 제조

    2025-05-12 08:09
  • 기사 썸네일
    생성형 AI 시대, 딥페이크 사기와 소셜 엔지니어링 방어 전략

    생성형 AI(Generative AI)의 발전은 사회 전반에 걸쳐 혁신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새로운 차원의 사이버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딥페이크(Deepfake) 기술의 고도화는 얼굴과 목소리를 넘어, 개인의 말투와 맥락까지 모방하며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물

    2025-05-11 16:00
  • 기사 썸네일
    트럼프發 관세 전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에 글로벌 시장이 요동친다. '내 것도 내 것, 네 것도 내 것, 모든 것이 내 것'이란 전략 때문이다. 이미 1기 집권 때 유사한 방법을 구사해 관세 전쟁을 편 결과는 대실패였다. 미국 인플레이션을 촉발했고 미국인의 삶을 더 팍팍

    2025-05-08 16:00
  • 기사 썸네일
    “AI, 묻는 자가 콘텐츠를 지배한다”...미디어 콘텐츠 시대, 프롬프트 디자인의 결정적 힘

    우리는 지금, 인간이 아닌 인공지능(AI)이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전례 없는 창작의 시대에 살고 있다. 텍스트에서 이미지, 영상, 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가 AI에 의해 생성되며, 이는 창작 방식 자체를 뒤바꾸고 있다. 더 이상 인간만이 이야기를 쓰고 영상

    2025-05-07 08:34
  • 기사 썸네일
    산불 꺼진 경북, 꺼지지 않은 카메라

    의성과 영양, 그리고 청송까지. 이번 산불로 가장 깊은 상처를 입은 경북 북부 지역들이다. 하지만 이곳은, 불이 나기 전부터 이미 조용히 꺼져가고 있었다. 인구는 줄고, 출생아 수는 급감했으며, 젊은 세대는 도시로 떠난 지 오래다. 청송은 이미 4개의 교정시설을 보유하

    2025-04-30 16:00
  • 기사 썸네일
    데이터 중심 시대, 이제는 분석 시스템도 오픈소스로 전환을 고려해야 할 때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본격화되면서 기업들은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내리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핵심 데이터가 집중되는 '데이터웨어하우스(DW)'는 기업의 데이터 분석과 비즈니스 인텔리전스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2025-04-29 16:00
  • 기사 썸네일
    고정밀 지도 반출은 호시우행(虎視牛行) 해야

    인공지능(AI) 산업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이다. 생성형 AI에 주변 사물을 인식하고 반응하는 비전 처리 기술이 더해지면서 AI 산업은 물리적 형태를 가진 피지컬 AI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AI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양질 데이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A

    2025-04-28 16:00
  • 기사 썸네일
    AI 기본사회를 현실로 만드는 길 'AI 뉴딜'

    지금 대한민국은 경제 악화, 지역 소멸, 일자리 위기, 기술 낙후라는 거대한 도전에 동시에 직면해 있다. 특히 세계 각국은 인공지능(AI)을 성장 핵심 엔진으로 삼고 대대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는 반면에 우리는 AI 국가 경쟁력에서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다. 서둘러 이 위

    2025-04-23 16:00
  • 기사 썸네일
    변호사 생존 전략, 'AI 프롬프트 디자인'에서 시작된다

    대한민국 법률시장은 지금,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다. 변호사 수는 꾸준히 늘고 있지만, 의뢰인 선택은 대형 로펌이나 플랫폼 기반 서비스에 쏠리고 있다. 정보 비대칭을 줄이겠다며 등장한 온라인 플랫폼은 표면적으로는 소비자 접근성과 투명성을 높이겠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광

    2025-04-23 13:29
  • 기사 썸네일
    AI와 함께 달리는 철도, 국민 안전과 미래를 잇다

    서울역 맞이방에 사람이 쓰러지는 순간 역무원에게 경보가 울린다. 역사 내 인공지능(AI) 영상분석 시스템이 비상상황을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경보를 전송한 덕분에 신속한 구조가 이뤄진다. 철도 현장에 도입된 AI 기술이 생명을 구하는 가상 상황이다. 실제 지난해 서울역에는

    2025-04-22 16:00
  • 기사 썸네일
    효율적 사업자를 징계하는 이상한 규제

    정부가 '지역냉난방 열요금 산정기준 및 상한 지정' 일부 개정 고시안을 마련해 행정예고를 했다. 지금까지는 한국지역난방공사(한난)와 동일한 요금(100%)을 택하거나 총괄 원가가 한난보다 높은 경우 한난 요금의 최대 110%까지 받을 수 있었다. 정부는 앞으로 사업자의

    2025-04-21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