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과학자
글로벌 코리아로 나아가기 위한 열쇠는 과학기술에 달려있다. 전자신문의 대한민국 과학의 미래를 떠받치는 대표 과학자를 소개한다.
-
- 이윤철 한국광기술원 모빌리티조명연구센터장

- 이윤철 한국광기술원(KOPTI) 모빌리티조명연구센터장(책임연구원)은 국내 모빌리티 분야 조명 광학 설계 및 제품 개발 전문가다. 지난 20여년간 모빌리티 분야 조명 광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전조등·후미등...
- 2022-06-12 12:00:00
-
- 윤진환 부산대 대학원 화학소재학과 교수

- 윤진환 부산대 교수는 고탄성 이온젤 개발로 주목받고 있는 고분자 연성재료 분야 전문가다. 이온젤은 전기장을 가하면 빛을 내는 유연 전계발광 소자다. 윤 교수가 개발한 고탄성 이온젤은 구부리는 정도의...
- 2022-05-01 12:00:00
-
- 김홍대 생기원 산업환경그린딜사업단장

- “탄소중립과 미세먼지 감축은 시대의 주요 화두이자 국가적 문제입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연구자로서 당연히 신경써야하는 부분입니다. 전폭적인 기관 지원이 있는만큼 좋은 성과가 있을 겁니다.” 김홍대...
- 2022-04-10 14:00:00
-
- 이명재 DGIST 박사, 차세대반도체융합연구소 이끌며 K-반도체 위상 높일 것

- “우리 대학이 보유한 최첨단 반도체 공정 나노팹 인프라와 우수한 연구자들의 연구역량을 한 곳에 결집해 세계 최고 수준 반도체 관련 연구성과를 내겠습니다.” 이명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차세대반도체융...
- 2022-04-03 16:00:00
-
- 남호정 GIST 교수 “AI 이용 신약개발 선도”

- “하나의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10~15년 연구개발 기간과 1조원 이상 비용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신약 개발 과정에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면 신약후보 물질 탐색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성공...
- 2022-03-06 14:00:00
-
- "액화수소 생산·저장기술 선도" 하동우 KERI 극저온기기연구센터장

- 하동우 한국전기연구원(KERI) 극저온기기연구센터장은 액체수소 생산·저장기술 분야 선도 연구자다. 지난해 국내 처음으로 액체수소를 효과적으로 생산하고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제로보일오프(Zero Boil-off)...
- 2022-02-06 12:00:00
-
- 김구태 한국뇌연구원 박사, "뇌 기억과 작동 원리 밝힌다"

- “인간은 생각과 기억으로 존재하는 동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많이 발생하는 심리장애, 정서장애는 모두 불편한 생각을 조절하지 못한 이유가 많습니다. 생각과 기억에 대한 연...
- 2022-01-07 10:28:00
-
- 이진환 한국조명ICT연구원 남부분원 빛융합시험팀장

- “과거 조명은 단순히 어둠을 밝히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광소자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외선(UV)이나 홀로그램 등을 응용한 다양한 제품이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광융합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 필...
- 2021-12-10 14:36:00
-
- '전고체전지 상용화 리더' 하윤철 KERI 책임연구원

- 하윤철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전고체전지 상용화 기반 연구를 선도하는 이차전지 소재 전문가다. 전고체전지 신소재에서 신공정까지 독자적 연구 성과로 주목받고 있다. 전고체전지...
- 2021-11-07 12:00:00
-
- 장재은 DGIST 교수, 기계에 인간의 인지적 감성을 입히는 핵심 기술 개발

- “인지적 촉각을 구현하는 아바타 기술이 아직 초기지만 후속 연구를 통해 빠르면 3~4년 안에 메타버스나 로봇수술 분야에서 촉감을 느낄 수 있는 기술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장재은 대구경북과학기술...
- 2021-09-12 14:00:00
-
- '우리 사회 안전지킴이' 김명진 한국광기술원 광정밀계측연구센터장

- “광센서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사회 주요 인프라와 보안시설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무인감시시스템을 개발, 실증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 안전에 일조하고 싶습니다.” 김명진 한국광기술원 광정밀계측연구...
- 2021-08-08 12:00:00
-
- "재제조, 제조혁신 기반산업으로 육성해야" 박상후 부산대 교수

- “재제조의 기반은 3D프린팅,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선도 기술입니다. 재제조산업을 전략 육성하면 조선기자재, 자동차·기계부품 등 지역 전통 제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제조혁신을 앞당길...
- 2021-07-11 11:00:00
-
- 최지웅 DGIST 교수 "뇌 임플란트 집중 연구"

- “휴머노이드 네트워크를 완벽하게 구현, 아이언맨과 같은 영화속 인물을 현실에 구현해보고 싶습니다. 갈길은 멀지만 다양한 분야 융합연구를 통해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고 봅니다.” 최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
- 2021-05-23 16:00:00
-
- 고도경 GIST 교수 “광학 기술 발전에 기여”

- 고도경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는 빛에 관련된 현상을 다루는 광학 전문가다. 서울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했고 같은 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원자력연구소 선임·책임연구원을 거쳐...
- 2021-04-23 13:19:00
-
- "AI에 도전해 기회 잡아야" 노삼혁 UNIST 인공지능대학원장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몇 년 유행으로 끝나지 않을 겁니다. 거대한 산업 전환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비롯한 컴퓨터과학 분야에 많은 연구자들의 과감한 도전이 필요합니다.” 노삼혁 울산과학기술원...
- 2021-03-21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