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

  • SW
  • IT
  • 경제
  • 전자
  • 모빌리티
  • 플랫폼/유통
  • 과학
  • 정치
  • 오피니언
검색창 열기 전체 메뉴 닫기
전체 메뉴 열기 전체 메뉴 닫기
  • 뉴스
  • 속보
  • SW
  • IT
  • 경제
  • 전자
  • 모빌리티
  • 플랫폼/유통
  • 과학
  •  
  • 정치
  • 오피니언
  • 국제
  • 전국
  • 스포츠
  • 특집
  • 연재
  • 라이프
  • 연예
  • 포토
  • 공연전시
  • 생활문화
  • 여행/레저
  • 비주얼IT
  • 이슈플러스
  • AI 스튜디오
  • Hot 영상
  • 뷰포인트
  • 인포그래픽
  • 부가서비스
  • Conference
  • allshowTV
  • 시사용어
  • PDF서비스
  • 서비스안내
  • 신문구독신청
  • 콘텐츠구매
  • 초판서비스
  • 회원서비스
  • 내 스크랩
  • 이용안내
  • 지면광고안내
  • 행사문의
  • 통합마케팅 상품 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고충처리
  • 회사소개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 연혁
  • CI소개
  • 회사위치

이슈 플러스

  • 정부 2차 추가경정예산안 발표…어떻게 쓰이나 2022-05-13
    소상공인 손실보전 23조원 투입…저금리 대출 전환 지원

    정부가 소상공인 손실보전에 23조원을 투입해 최소 600만원의 손실보전금을 지급한다. 방역에 필요한 예산 6조원을 추가 확보하고 물가안정 등을 위한 3조원 예산도 편성했다. 정부는 12일 36조4000억원 규모 2022년...

    • 올해 세금 53조원 더 걷는다…기재부, 또 대규모 세수 오차
    기사 이미지
  • 尹정부 국정과제 '상생결제' 확산 걸림돌은 2022-05-12
    국정과제된 '상생결제'...1.9%대 2·3·4차 기업 수취율 향상 관건

    정부가 11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상생결제제도 활성화를 선언했다. 상생결제가 시작된 2015년 이후 553개 대기업과 국가기관, 15만2965개 판매기업, 11개 금융사가 동참하고 누적 720조원9571억원(지난 4월 기준)...

    • "조세감면 확대해 1차 기업 참여 유도해야"
    기사 이미지
  • 카카오-티맵 '대리운전' 격론 2022-05-10
    대리운전업 상생안, '카카오 vs 티맵' 격론

    카카오모빌리티와 티맵모빌리티가 동반성장위원회 조정협의체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전화콜 대리운전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에는 반대하지 않으나 세부 조항에서 입장 차이를 보인다. 시장 선점 사업자와...

    • “대기업, 대리운전 경쟁에만 치중...구성원 배려 없다”
    기사 이미지
  • 네이버·카카오 'ESG 경영' 강화 2022-05-09
    ESG 조직 강화한 네이버·카카오...“글로벌 수준이 목표”

    국내 플랫폼 양대산맥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나란히 새로운 CEO(최고경영자)를 맞이하면서 글로벌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는 가운데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부문에서도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기 위해 다각적...

    • 네이버·카카오, ESG 경영 성과 '눈치전'
    기사 이미지
  • 정유업계 사상 최대 분기 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이유는 2022-05-06
    정유업계, 사상 최대 실적에도 '위기감' 증폭

    #국내 정유업계가 역대급 정제마진에 힘입어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올렸지만 위기감은 커지고 있다. 지금과 같이 석유제품 공급 및 수요 불균형이 지속될수록 각국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이 가속할 수 있기 때문...

    • 정유업계, 친환경 사업 강화로 위기 돌파 나서
    기사 이미지
  • 제도화 '산넘어 산'…이번엔 약사 단체에 막혀 2022-05-04
    '비대면 진료 또 후퇴?' 약사 단체 반대 이유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우호적 환경이 조성되던 비대면 진료 제도화 문제가 약사들 반대에 부딪혔다. 그간 원격의료에 반대입장이던 의사들이 코로나로 확인된 비대면 진료 필요성에 전향적인 입장을 보인 반면...

    • 약사 반대로 10년째 갇힌 '화상투약기'
    기사 이미지
  • '알뜰폰 자회사 점유율 제한' 논란 2022-05-02
    이통 자회사 알뜰폰 점유율 제한논쟁, 해법은

    2014년 알뜰폰 시장에 이동통신 자회사 진입을 허용한지 8년 만에 SK텔링크, KT엠모바일·KT스카이라이프. LG헬로비전·미디어로그의 휴대폰 기준 알뜰폰 시장 점유율이 50%를 넘어섰다. 이통사가 알뜰폰 시장에서...

    • 해외시장 이통자회사 알뜰폰 현황은
    기사 이미지
  • 심상·LG전자 1분기 실적 '역대급' 2022-04-29
    삼성전자, 창사 이래 최대 분기 매출...연간 최고 실적 달성 전망

    삼성전자가 글로벌 1위 상품 메모리반도체와 스마트폰으로 창사 이래 최대 분기 매출 기록을 냈다.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업황 부진 우려 속에서도 반도체 부문에서 8조원 이상 흑자를 올리며 다시 한번 힘을 입증했...

    • '역대 최고 실적' LG전자, 연매출 80조 시대 연다
    기사 이미지
  • 현대차그룹 'ccOS' 미래 청사진 2022-04-27
    현대차그룹 ccOS, 고객 충성도·수익 확대 모두 잡는다

    현대차그룹이 커넥티드카 운용체계(ccOS)로 미래차 시대를 준비한다. 커넥티드카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서비스와 기능 업데이트를 제공해 편의성을 높이고, 동시에 새로운 수익 기반을 마련한다. 자동차 플랫폼으로...

    • 완성차 제조사 SW 내재화에 1차 부품사 '촉각'
    기사 이미지
  • 시스템 반도체 산업 육성 성공하려면 2022-04-26
    시스템 반도체의 숨은 공로자 'SK하이닉스·큐알티' 상생 사례 주목

    반도체 팹리스가 설계한 칩은 제대로 움직 일수 있는지 신뢰성을 검증해야 한다. 고객이 요구하는 성능과 안정성 허들을 넘어야 한다. 입사 전 외국어 능력이나 상식 등 실력을 입증한 증명서를 얻는 것과 유사하...

    • 시스템반도체 강국 '생태계' 없인 대만도 못이긴다
    기사 이미지
  • 인앱결제 강제금지법 연착륙 시험대 2022-04-25
    방통위-구글, '특정 결제방식 강제 금지' 해석 이견

    구글이 웹결제 아웃링크를 금지한 플레이스토어 새 결제정책을 발표하며 세계 최초 인앱결제 강제금지법 제도 연착륙이 시험대에 올랐다.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으로 앱마켓 사업자가 특정 결제방식을 강제하는 행위...

    • 국제공조로 '인앱결제 강제금지' 실효 높여야
    기사 이미지
  • 패널업체 손잡고 기술력 무장 2022-04-22
    韓 '최후의 보루' OLED, 소재 기업 '대약진'

    한국 디스플레이가 세계 1위 자리를 중국에 넘겼지만, 현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은 중국보다 기술 우위를 지키고 있다. 삼성과 LG는 각각 중소형, 대형 OLED 패널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OLED 시장이 커지고...

    • 솔루스첨단소재 "OLED 재료 시장 톱3 진입 목표"
    기사 이미지
  • 갈림길 선 e커머스…새판짜기 분주 2022-04-20
    “덩치냐 내실이냐”…갈림길 선 e커머스

    국내 e커머스 업계가 지난해 실속 없는 성장을 했다. 외형은 커졌지만 대다수 업체가 여전히 적자 구조를 벗어나지 못했다. 올해는 대내외 환경 변화에 맞춰 새판 짜기에 분주하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라 비...

    • e커머스, 출혈 경쟁 지양...수익성 챙기기 나선다
    기사 이미지
  • 엔데믹 시대로 의료·바이오 시장 재편 2022-04-19
    코로나 엔데믹 전환…백신·치료제·진단키트 옥석 가려진다

    국내 코로나19 대응이 엔데믹(풍토병) 단계로 접어들면서 의료·바이오 산업계에 후폭풍이 예상된다. 코로나19가 종식된 상황은 아니지만 지난 2년간 팬데믹을 거치면서 높아진 백신 접종률과 확진자 수 등 영향으로...

    • '한시 허용' 비대면 진료 운명은…약 배송 등 이해관계 조정 과제
    • 국산 백신 기대주 SK바사, 엔데믹 전망은?
    기사 이미지
  • 넥슨 지배구조 개편 시나리오 2022-04-19
    넥슨 향후 지배구조 개편 가능성...시나리오는

    엔엑스씨(NXC)가 아퀴스를 청산하면서 김정주 창업자 별세 이후 그의 NXC 지분 향방 그리고 넥슨 경영권 향배를 둘러싼 여러 가능성이 거론된다. 업계에서 아내인 유정현 NXC 감사가 상속해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는...

    • NXC는 어떤회사?
    기사 이미지
❮이전 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페이지
  • 뉴스
  • 속보
  • SW
  • IT
  • 경제
  • 전자
  • 모빌리티
  • 플랫폼/유통
  • 과학
  •  
  • 정치
  • 오피니언
  • 국제
  • 전국
  • 스포츠
  • 특집
  • 연재
  • 라이프
  • 연예
  • 포토
  • 공연전시
  • 생활문화
  • 여행/레저
  • 비주얼IT
  • 이슈플러스
  • AI 스튜디오
  • Hot 영상
  • 뷰포인트
  • 인포그래픽
  • 부가서비스
  • Conference
  • allshowTV
  • 시사용어
  • PDF서비스
  • 서비스안내
  • 신문구독신청
  • 콘텐츠구매
  • 초판서비스
  • 회원서비스
  • 내 스크랩
  • 이용안내
  • 지면광고안내
  • 행사문의
  • 통합마케팅 상품 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고충처리
  • 회사소개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 연혁
  • CI소개
  • 회사위치
지면광고안내 행사문의 통합마케팅 상품 안내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고충처리 사이트맵
전자신문 회사소개
주소 :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호반파크1관 대표번호 : 02-2168-9200 등록번호 : 서울 아04494 등록일자 : 2017년 04월 27일

사업자명 : 전자신문인터넷 사업자번호 : 107-81-80959 발행·편집인: 심규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태권

Copyright © Electronic Times Inter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