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이른 폭염과 열대야로 실내전시관, 체험학습관 등이 인기다. 3일 경기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학생들이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전자제품의 반도체 소자를 보고 있다.
-
[포토] 일상 생활 가전제품의 반도체2025-07-03 16:23
-
[1만호 100대 사건]〈18〉우리나라 최초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 성공
1990년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는 우주기술의 불모지에 가까웠다. 지구 관측과 저궤도 이동통신, 우주과학 실험을 위해 선진국들이 앞다퉈 고성능 소형위성 경쟁을 전개했던 것과 대비됐다. 정부는 우주산업 개척 필요성을 인지, 1990년 본격적인 투자에 나섰다. 우리별
2025-07-03 16:00 -
영남대, 차세대 AI 뉴로모픽 전자소자 개발…의료·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기대
영남대학교(총장 최외출)는 김민재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사람의 뇌처럼 정보의 저장과 계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인공지능(AI) 뉴로모픽 전자 소자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초소형 전자 소자는 '멤리스터(memristor)'로 불린다.
2025-07-03 15:59 -
충남, 제2회 양자과학기술 육성 포럼 개최…양자기술 전환 기업 육성 전략 모색
충남도가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양자기술 분야에서 사업화를 선도하고 양자기업 육성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도는 3일 한국기술교육대 다담미래학습관에서 '제2회 충남 양자과학기술 육성 포럼'을 개최했다. 전형식 정무부지사와 김재완 미래양자융합포럼 공동대표의장을
2025-07-03 15:48 -
[포토] 역대급 폭염·열대야, 미디어아트로 동물도감 체험
역대급 폭염·열대야 마른 장마로 실내 전시관, 체험핚습관 등이 인기다. 3일 경기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어린이들이 미래의 동물도감을 '미디어아트'로 체험하고 있다.
2025-07-03 15:45 -
KIST, 소량 첨가제로 고이온전도성 전해질 개발...웨어러블 에너지 문제 해결 기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오상록)이 첨가제 소량만으로 이온전도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고분자 전해질을 개발했다. KIST는 전북분원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의 김남동 책임연구원과 주용호 선임연구원, 이진우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이
2025-07-03 12:00 -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황철성 교수…메모리 반도체 집적 한계 극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2025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상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연구성과를 이룬 과학기술인을 발굴해 시상하는 국내 국내 최고 권위의 과학기술인상이다. 연구개발(R&D)
2025-07-03 12:00 -
과총, 8~10일 '2025 강남 테헤란밸리 과학축제' 개최...광복 80주년, 과거·미래 잇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태식)가 주최하는 '2025 강남 테헤란밸리 과학축제'가 오는 8~10일,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를 맞은 강남 테헤란밸리 과학축제(과학축제)는 '2025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 연계 행사로, 국
2025-07-03 11:52 -
AI 시대 인재정책, 무엇 바꿔야 하나...STEPI, 'AI 시대 인재정책' 모색한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원장 윤지웅)은 한국직업능력연구원(KRIVET·원장 고혜원)과 함께 오는 10일 오후 2시,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AI 시대, 인재의 조건과 정책을 다시 묻다'란 주제로 '제464회 STEPI 과학기술정책포럼'을 개최한다.
2025-07-03 11:42 -
한의학연, 혀 색상 국가참조표준 개발...미래 디지털헬스케어 기술 고도화 활용 기대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진용)은 설진 데이터센터(센터장 이상훈)의 전형준 박사팀이 한의학계 최초로 혀 색상 국가참조표준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국가참조표준 통합 플랫폼에 지난해 12월 19일 등록됐으며 국내 표준, 인증, 안전 분야를 대표하는 '표준인증
2025-07-03 11:34 -
IBS, 정확도·효율성 높인 생명과학 데이터 분석 도구 'scICE' 개발
기존보다 최대 30배 빠른 속도로 안정적인 결과만을 자동으로 선별, 대규모 생명과학 데이터 분석 정확도·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이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노도영)은 김재경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의생명 수학 그룹 CI(KAIST 수리과학과 교
2025-07-03 11:26 -
KAIST·LIG넥스원, '국방 자율시스템 연구센터' 설립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2일 LIG넥스원(대표 신익현)과 '국방 자율시스템 연구센터' 설립·운영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KAIST·LIG넥스원은 국방 자율 시스템 및 인공지능(AI) 기반 체계 기술 분야 공동 연구
2025-07-03 11:16 -
건설연, 우기도 끄떡없는 '경제형 도로 포장기술' 구현...필리핀 현지 실증도 성공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박선규)은 동남아시아 농촌지역 열악한 도로 인프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비포장도로 포장용 초속경 콘크리트 복합매트 시공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초속경 콘크리트 복합매트는 토목섬유 소재 사이에 콘크리트 재료를 넣어 매트 형태로 제작한
2025-07-03 11:11 -
에너지연, '청정수소 품은 암모니아, 新촉매로 3배 더 쉽게 분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창근)이 기존보다 경제적인 신개념 암모니아 분해 촉매 합성법을 개발했다. 이를 활용하면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더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어 수소 경제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너지연은 구기영 수소연구단 박사팀이 이런 성과를 거뒀다
2025-07-03 11:05 -
철도연 개발 '전차선 장력조정장치 상태감시시스템' 대만 수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사공명)이 개발한 '사물인터넷(IoT) 기반 전차선 장력조정장치 상태감시 시스템(이하 상태감시 시스템)'이 대만에 수출되며 국내 철도 기술 해외 상용화 성과를 거뒀다. 철도연은 상태감시 시스템 기술을 디투엔지니어링(대표 김낙경)에 이전했으며, 이
2025-07-03 1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