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앱 시제품 제작과정 최소화…생산성 200배 향상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개발에 필수인 시제품 제작 과정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이 나왔다. 시제품 개발에 쓰이는 시간과 인력을 줄여 시제품 앱 생산성을 200배 이상 높일 수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신성철)은 이성주 전산학부 교수팀이 이미 출시된 앱 기능과 코드를 활용, 앱 시제품을 쉽고 빠르게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앱 시작품 제작기술 개발자 도구
연구팀이 개발한 앱 시작품 제작기술 개발자 도구

앱 시제품은 신제품 제작 전 시장성을 시험하는 데 활용하는 필수 기반이다. 앱 개발사 입장에서는 신제품을 빠르고 정확하게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앱 시제품 제작에 특화된 도구·서비스가 수천 가지나 되지만, 기능은 개발자가 직접 구현해야 한다.

기술을 개발한 이성주 KAIST 교수(사진 오른쪽)와 박수영 연구원(왼쪽)
기술을 개발한 이성주 KAIST 교수(사진 오른쪽)와 박수영 연구원(왼쪽)

개발 기술은 이런 한계를 극복한다. 연구팀은 수백만개에 달하는 기존 앱 기능을 추출하고 프로그램 코드로 자동 변환해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다양한 시제품 앱을 만들어 시험해보고 이를 정식으로 개발할 수 있다. 그대로 출시하려면 앱 개발자 동의가 필요하지만, 내부 시험용으로는 충분히 활용가능하다. 정식 앱 개발 실패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관련 논문 1저자 김동휘 연구원
관련 논문 1저자 김동휘 연구원

연구팀은 불과 50여 줄 프로그램 코드만 작성해도 개발 기술을 적용해 시제품화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만 줄 이상 코드가 필요한 개발과정을 손쉽게 마칠 수 있다.

이성주 교수는 “개발 기술은 다른 앱과 상호작용이 모두 백그라운드에서 이뤄진다”며 “실제로는 자신의 앱과 다른 앱을 동시에 다루지만 마치 한 개 앱으로 작업하는 듯한 효과를 낸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