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특송 서비스 애물단지 전락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시속 300㎞ 택배’를 모토로 내걸고 의욕적으로 사업에 나선 ‘KTX 특송 서비스’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허술한 보안 때문에 특송 서비스가 잇따라 범죄에 활용되고 있는 데다 전담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는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모회사와 자회사는 서로 책임을 떠넘기기만 할 뿐 대책 마련에는 소극적이다.

 ◇보안 허술, 불평등 계약 도마위=지난해 3월 부산 사하경찰서는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통해 서울에 있는 히로뽕 공급자와 접촉해 약물을 구매한 뒤 KTX 특송화물로 이를 건네 받은 29살의 박모씨를 구속한 바 있다. 올해 1월에는 수원지검 마약조직범죄수사부(부장 김학석)가 신종 마약 ‘고메오’를 KTX 특송화물 편으로 운송한 김모씨를 구속기소했다.

 이들이 KTX 특송편을 이용하는 이유는 빠르고 안전하기 때문. 국내 역사에 화물검색대가 설치된 곳이 없어 KTX 특송화물은 별도의 검수과정 없이 통과가 가능하다.

 게다가 KTX 특송 서비스업체인 코레일네트웍스는 2005년부터 올해 6월까지 총 33억1000만원을 코레일에 지불해야 했지만 17억가량을 미납했다. 코레일네트웍스는 매출의 절반을 코레일에 상납(?)하다보니 적자를 면치못해 지난해 12월에는 사업 운영 포기 의사까지 전달했다.

 코레일은 2005년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와 KTX 특송 업무 협약을 맺으며서 매출액을 절반씩 나눠 갖기로 했다. 코레일이 KTX 운송료를 지나치게 높게 책정해 불평등 계약을 자회사에 강요했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코레일이 국정감사를 위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KTX 특송 서비스는 2005년 4억500여만원, 2006년 20억7300여만원, 2007년 27억6700여만원, 올해 6월 기준 14억16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올들어 매출이 기대보다 늘어나지 않고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대책 마련 나몰라라=그러나 현재도 화물검색대가 설치된 곳은 없다. 코레일은 코레일네트웍스의 일이라는 입장이다. 화물검색대를 설치하는 데 드는 비용은 2억∼3억가량. 한해 매출이 1조원이 넘는 코레일 입장에서는 과한 비용이 아니지만, 이미 적자 상태였던 코레일네트웍스에는 큰 부담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코레일에) 예산 지원을 요구했지만 코레일 입장에서는 특송과 관련한 인프라에 우리(코레일)가 투자할 필요가 없다는 쪽으로 입장을 잡았다”며 “코레일네트웍스가 부담하는 쪽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화물검색대를 설치하는게 전시적 효과만 있을 뿐 실제 범죄를 줄이는 데 도움이 안 될거라는 회의적 시각도 존재했다”고 덧붙였다.

 코레일 내부에서는 근본적으로는 코레일이 사업 활성화에 대한 의지가 없다는 목소리가 들린다. 코레일 관계자는 “KTX 특송 서비스가 친환경 운송의 대안이 되는 등 (공기업 측면에서) 갖는 의미는 있다”며 “그러나 전체적으로 매출에 도움은 안 되기 때문에 회사 차원에서 관심이 별로 없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코레일은 또 사업 포기 의사까지 전달한 마당에 지난 7월에야 코레일네트웍스로부터 걷는 돈이 과하다는 점을 인정하고 수익배분율을 매출의 50%에서 35%로 낮췄다. 그러나 뒤늦은 대처라는 지적이 높다.

 정진욱기자 cool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