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스마트TV시장 선점하자

범 정부 스마트TV발전정부대책 마련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스마트TV 발전전략 주요 내용

정부가 스마트TV 경쟁력의 핵심인 플랫폼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에 나선다. 또 스마트TV 활성화를 위한 시범사업과 콘텐츠 육성 등 관련 생태계 조성도 추진키로 했다. 올해 543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지식경제부와 방송통신위원회·문화체육관광부 3개 부처는 6일 경제정책조정회의를 거쳐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TV 산업 발전에 관한 정부정책’을 확정, 발표했다.

 스마트TV 시장은 기존 TV와 달리 콘텐츠와 인터넷망 등 TV를 둘러싼 생태계 활성화가 중요하다. 정부는 이를 위해 △스마트TV 경쟁력 제고 △콘텐츠 및 서비스 육성 △인프라 구축 3대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조영신 지경부 전자산업과장은 “향후 글로벌 TV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스마트TV 경쟁력 제고와 국내 서비스 활성화·콘텐츠 확산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우선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플랫폼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한다.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결합 부품, 사용자와 시스템 상호작용을 원활하도록 돕는 장비 개발에 집중한다는 것. 소비자가 스마트TV를 편리하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모델 확산사업도 준비한다. 아울러 공공 서비스에 대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공모전을 개최, 참신한 아이디어도 발굴해 사업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콘텐츠와 서비스 육성을 위해 스마트 콘텐츠 육성 전략을 토대로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똑똑한 TV에 맞는 콘텐츠와 서비스가 스마트TV와 맞물려 동반 시너지를 낼 것이라는 기대다. 아울러 산업체 수요에 적합한 기술인력 양성과 방송콘텐츠 제작인력에 대한 스마트TV 신기술 교육 등 융합형 인재 양성에도 나서기로 했다. 스마트TV의 법적 개념과 관련, 양청삼 방통위 스마트TV전략팀장은 “IPTV 등 기존 매체와 새로운 스마트TV 간에 제도적 불균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에 대비해 방송·통신·인터넷 법제 정비에도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호준기자

 

 ◆뉴스의 눈

 스마트TV는 하드웨어(HW)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통신, 콘텐츠 등과 연계한 새로운 서비스산업의 등장을 예고한다. 따라서 향후 제도적 기반을 어떻게 마련하는지가 관건이다.

 인터넷망을 통한 스마트TV용 콘텐츠 유통이 늘어나면 통신사업자 네트워크 부담이 커지고, 이는 자연스레 네트워크 비용 분담을 비롯한 망 중립성 논란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TV에 어떤 법적 개념을 부여할지도 아직은 모호하다. 방통위는 TV방송과 유사한 서비스에 초점을 맞춰 스마트TV 서비스의 법적 개념과 범위를 규정해나갈 계획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원칙은 정하지 않은 상태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하드웨어 경쟁력을 통해 세계 TV시장을 석권해 왔다. 하지만 스마트폰 사례에서 보듯이 차세대 기술경쟁에서 뒤질 경우 TV시장 주도권을 놓칠 우려가 있다. 플랫폼 등에서 비교우위를 지닌 애플과 구글이 스마트TV 시장에 진출한 것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용어설명>

 ◆스마트TV=지상파 방송 시청은 물론이고 인터넷에 연결돼 주문형비디오(VoD), 게임, 영상통화, 앱 활용 등 컴퓨터 기능이 가능한 TV. 일반 TV로도 셋톱박스 연결을 통해 스마트TV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