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17년까지 슈퍼컴퓨팅 세계 7대 강국 진입"

주요 선진국이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슈퍼컴퓨팅) 자원을 확충해 기술 격차를 벌리기 위해 적극 나서는 가운데 정부가 슈퍼컴퓨팅 강국으로 진입하기 위한 정책 기틀을 마련했다. 2017년까지 슈퍼컴퓨팅 7대 강국으로 진입하겠다는 비전을 공개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제1차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위원회`를 열어 5년간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 육성 청사진을 담은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 육성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 10개 관계부처와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서 마련한 기본계획은 비전으로 `초고성능 컴퓨팅 세계 7대 강국 실현`을 제시했다. 전략 및 목표로 △신규 수요 창출을 통한 초고성능 컴퓨팅 활용 확대 △세계 10위권 수준의 초고성능 컴퓨팅 서비스 기반 구축 △초고성능 컴퓨팅 자체 개발역량 확보와 산업화 토대 마련 등을 설정했다.

정부는 신규 수요를 늘리기 위해 빅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분야인 기상·안전·복지·교육 등에서 슈퍼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응용 서비스를 마련한다. 서비스 체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수요에 따라 특성화된 3단계 `컨트롤 타워(국가센터·전문센터·연동센터)`를 구축한다.

슈퍼컴퓨팅 서비스를 총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국가센터는 관련 인프라가 구축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담당할 계획이다. 오대현 교과부 원천연구과장은 “기상·과학 등 전문분야에서 활용하는 전문센터와 좀 더 작은 개념으로 대학연구소·연구진 네트워크를 통합한 연동센터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슈퍼컴퓨터 `해담` `해온`을 보유한 기상청이 물망에 올랐다. 하지만 기상분야에 너무 치우쳐 종합적인 전문센터 역할을 할지 의문이 제기됐다.

슈퍼컴퓨터 연구개발(R&D)로 독자적인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논의는 서울대가 개발한 `천둥`이 세계 톱500 슈퍼컴퓨터에 이름을 올리면서 힘이 더해졌다. 교과부 측은 국산 슈퍼컴퓨터가 인증 등을 거치지 않아 당장 도입은 어렵겠지만 중장기적으로 국산 슈퍼컴퓨터로 시스템을 대체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재진 서울대 교수는 “슈퍼컴퓨터 자체 개발 기술을 확보한 상태”라며 “국산 컴퓨터로 대체된다면 도입 비용을 10분의 1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기본 계획 실행 예산을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 교과부는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내년 상반기 `2013년도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 육성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이미 내년도 예산 확정안이 나온 만큼 내년은 예산 전용을 통해 사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결정되면 2014년도부터는 확정 예산으로 사업을 진행한다. 1차 기본계획에 필요한 예산이 3000억원 이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정부 "2017년까지 슈퍼컴퓨팅 세계 7대 강국 진입"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