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스마트 인프라와 산업단지 예산 증액

올해 국토교통부 예산이 지난해보다 5% 감소한 가운데 교통과 공간정보를 IT와 결합한 스마트 인프라 분야는 다소 늘었다. 교통·공간 정보를 IT와 모바일 기술로 융합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2014년 예산이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3940억원 증액한 20조9000억원으로 확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전년(22조원)에 비해 5% 감소한 것이다. 전체 예산이 줄었지만 교통과 공간 정보에 IT를 결합한 스마트인프라 부문은 예산이 소폭 늘거나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부동산 입지 여건을 3차원 인터넷 지도 서비스로 제공하는 국토공간기반조성 사업 예산이 지난해 152억원에서 223억원으로 늘었다.

교통정보를 실시간 공유해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30억원 규모 차세대 ITS 시범사업도 새로 추진한다. 여기에 국토교통 분야 연구개발(R&D) 투자액도 지난해 4014억원에서 4110억원으로 증가했다.

산업단지 예산도 국회 심의 과정에서 늘어나 당초 정부안(8964억원)보다 0.3% 많은 8991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특히 노후공단 재정비 예산이 지난해 43억원에서 275억원으로 5배 이상 많아졌다. 구도시를 리모델링하는 도시재생 선도사업 예산도 지난해 5억원에서 306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혁신도시 지원 예산도 90억원에서 109억원으로 높아졌다.

국토부는 “침체된 경제 활성화와 서민생활 안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투자가 일정 규모를 유지한 가운데 도시재생 등 생활밀착형 사회간접자본(SO221C)과 도시권 교통난 완화를 위한 철도사업 등이 국회 심의과정에서 증액됐다”고 설명했다.

세종=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