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ODA) 규모가 지난해보다 11% 늘어난 2조2666억 원으로 확정됐다.
정부는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제17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를 열고 `2014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을 논의, 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ODA 총규모는 지난해(2조411억원)보다 2255억원(11%) 늘어난 2조2666억원이다. 전체 금액의 68%(1조5423억원)는 양자협력에, 나머지 32%(7243억원)는 다자협력에 사용된다. 또 양자협력 지원액 중 51%(7890억원)는 무상지원에, 49%(7533억원)는 유상지원에 각각 투입된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중점 지원 기조를 유지하면서 아프리카 지원을 확대한다. 즉, 아시아가 46.9%로 가장 많고 아프리카 16.7%, 중남미 6%, 중동 및 CIS 5.5% 등이다. 분야별로는 교통이 15.8%, 수자원 12.7%, 교육 12.2%, 보건 9.9%, 에너지 8.5% 순이다.
정부는 윈윈형 ODA를 주요 정책방향으로 설정, 개도국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유·무상 패키지 사업 등으로 우리 기업과 청년 인력의 해외진출도 촉진한다. 성과중심의 ODA를 달성하기 위해 현행 26개 중점 협력국을 재조정하는 작업도 벌인다. 이밖에 올해부터는 ODA 기관별 자체 평가를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대규모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제 도입을 검토한다.
정 총리는 “작년에 처음으로 ODA 규모가 2조원을 돌파하고 국제규범에 맞춰 전략과 시스템을 개선하는 등의 양적, 질적 발전이 있었다”면서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ODA 선진 공여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ODA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