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물동량 폭증에 컨테이너 하역 요금 개편 추진

[사진= 해양수산부 제공]
[사진= 해양수산부 제공]

정부가 컨테이너 하역 요금 개편 검토에 착수했다. 최근 물동량이 폭증한 가운데 컨테이너 항만 운영사 간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우려, 상호 윈-윈할 방안 모색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컨테이너 하역 요금 개편 방안 수립을 위한 하역 원가 분석'을 긴급 입찰에 부쳤다.

구체 과업은 항만 운영사별 하역원가 자료 수집 및 분석과 하역원가 특성 및 수준 비교 등이다. 이를 통해 적정 하역요율을 산정토록 했다.

대상 항만은 부산항으로 특정됐다. 부산항에는 북항 3곳, 신항 5곳 등 터미널 운영사 8곳이 있다. 현재 건설 막바지인 신항 2-4단계, 2-5단계, 2-6단계가 운영되면 운영사는 총 11곳까지 확대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국무총리 산하 국책 연구기관이다. 해운과 수산, 해운, 항만, 물류 분야 정책 개발을 담당한다.

정부 기관이 컨테이너 하역 요금 개편 검토에 착수한 것은 최근 물동량 폭증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실제 해양수산부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부산항 물동량은 3233만톤으로 작년 동기 대비 2.4% 늘었다.

부산항에선 물동량 폭증에도 '단가 후려치기' 같은 과당경쟁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하역요금 지속 하락으로 항만 운영사 경영 수지를 악화시킬 공산이 크다. 이런 추세가 장기화한다면 터미널 시설 투자 등을 약화시켜 항만 운영사와 이용자 모두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특히 부산항은 1~2년 사이에 신항 2-4단계, 2-5단계 개장이 예정돼 있다. 향후 항만 운영사간 과당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관계자는 “명확한 하역원가 분석으로 적정 하역요율을 산정하고 적용, 항만 산업 발전을 도모할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면서 “산정된 하역료를 적용하는 방안을 수립해 하역시장 안정화와 운영사 경영여건 개선을 달성하려는 것이 이번 검토 목적”이라고 밝혔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