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 간 기술규격 다툼으로 보류된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 사업에 재시동이 걸렸다. 웨이브 방식부터 구축해 사용하고 셀룰러 방식은 실증 이후 사용하는 듀얼 방식을 추진키로 했다. 두 방식을 사용하다 2024년 이후에는 하나의 규격으로 전국에 확산한다.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C-ITS 전국 구축계획에 대한 협의를 완료하고 C-ITS 공동작업반을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C-ITS는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 간 통신을 통해 교통 위험 정보 등을 공유해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프라다. 센서만으로는 정보 수집에 한계가 있는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을 위해 꼭 필요하다.
정부는 4분기부터 실증을 마친 근거리전용통신(DSRC)의 일종인 웨이브(WAVE) 방식으로 고속도로에 C-ITS 구축을 시작한다. C-ITS를 구축하는 고속도로는 전체 2400㎞로, 도로공사가 올 4분기에 발주 가능한 물량부터 웨이브 기반으로 구축한다. 올해 첫 발주 규모는 700㎞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롱텀에볼루션 차량통신기술'(LTE-V2X) 실증도 추진한다. 오는 2022년까지 실증을 마친 후 웨이브 기반으로 구축된 구간에 LTE-V2X 시스템을 추가 설치, 병행 방식의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2023년까지 두 기술의 비교 성적표와 기술 관련 국제 동향을 파악하고, 2024년 이후 한국형 단일 방식을 채택한다. 고속도로 2400㎞ 구간에는 웨이브와 LTE-V2X가 모두 구축되지만 국도·지방도 등 주요 간선도로에는 규격 단일화 이후인 2024년부터 C-ITS가 도입된다. 기존 계획에는 주요 간선도로도 포함돼 있었지만 단일화 후로 미뤄졌다.
업계는 사업 중단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환영했다. 국토부는 실증을 마친 웨이브 방식으로 본사업을 우선 추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과기정통부는 중복 투자를 우려하면서 LTE-V2X 실증부터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업 주체는 국토부지만 주파수 운용 방안은 과기부가 결정, 두 부처가 팽팽하게 맞섰다. 2019년부터 공동연구반에 이어 지난해 말 두 부처의 차관이 만난 자리에서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 6월 기획재정부가 두 기술을 비교·실증한 후 단일 기술을 채택해서 본사업을 진행하라는 지침을 내리면서 보류됐다. 결국 한국판 뉴딜 사업 중단 우려가 커지면서 국토부·과기정통부는 본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두 부처는 LTE-V2X 실증 계획 등을 논의하기 위해 26일 C-ITS 공동작업반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 전자기술연구원, 한국도로공사, ITS코리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참여한다. 김정희 국토부 자동차정책관은 “자율주행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C-ITS 인프라를 전국에 조속히 구축,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길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앞으로도 자율주행 및 차량통신 생태계가 세계로 나갈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