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S '웨이브·LTE' 병행 추진...2024년 '한국형 규격' 최종 확정

부처 간 갈등 접고 본사업 재개
웨이브 우선 구축 후 LTE 추가
기술 비교 거쳐 단일 방식 채택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부처 간 기술규격 다툼으로 보류된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 사업에 재시동이 걸렸다. 웨이브 방식부터 구축해 사용하고 셀룰러 방식은 실증 이후 사용하는 듀얼 방식을 추진키로 했다. 두 방식을 사용하다 2024년 이후에는 하나의 규격으로 전국에 확산한다.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C-ITS 전국 구축계획에 대한 협의를 완료하고 C-ITS 공동작업반을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C-ITS는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 간 통신을 통해 교통 위험 정보 등을 공유해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프라다. 센서만으로는 정보 수집에 한계가 있는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을 위해 꼭 필요하다.

정부는 4분기부터 실증을 마친 근거리전용통신(DSRC)의 일종인 웨이브(WAVE) 방식으로 고속도로에 C-ITS 구축을 시작한다. C-ITS를 구축하는 고속도로는 전체 2400㎞로, 도로공사가 올 4분기에 발주 가능한 물량부터 웨이브 기반으로 구축한다. 올해 첫 발주 규모는 700㎞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롱텀에볼루션 차량통신기술'(LTE-V2X) 실증도 추진한다. 오는 2022년까지 실증을 마친 후 웨이브 기반으로 구축된 구간에 LTE-V2X 시스템을 추가 설치, 병행 방식의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2023년까지 두 기술의 비교 성적표와 기술 관련 국제 동향을 파악하고, 2024년 이후 한국형 단일 방식을 채택한다. 고속도로 2400㎞ 구간에는 웨이브와 LTE-V2X가 모두 구축되지만 국도·지방도 등 주요 간선도로에는 규격 단일화 이후인 2024년부터 C-ITS가 도입된다. 기존 계획에는 주요 간선도로도 포함돼 있었지만 단일화 후로 미뤄졌다.

C-ITS 개념도
C-ITS 개념도

업계는 사업 중단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환영했다. 국토부는 실증을 마친 웨이브 방식으로 본사업을 우선 추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과기정통부는 중복 투자를 우려하면서 LTE-V2X 실증부터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업 주체는 국토부지만 주파수 운용 방안은 과기부가 결정, 두 부처가 팽팽하게 맞섰다. 2019년부터 공동연구반에 이어 지난해 말 두 부처의 차관이 만난 자리에서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 6월 기획재정부가 두 기술을 비교·실증한 후 단일 기술을 채택해서 본사업을 진행하라는 지침을 내리면서 보류됐다. 결국 한국판 뉴딜 사업 중단 우려가 커지면서 국토부·과기정통부는 본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두 부처는 LTE-V2X 실증 계획 등을 논의하기 위해 26일 C-ITS 공동작업반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 전자기술연구원, 한국도로공사, ITS코리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참여한다. 김정희 국토부 자동차정책관은 “자율주행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C-ITS 인프라를 전국에 조속히 구축,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길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앞으로도 자율주행 및 차량통신 생태계가 세계로 나갈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