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생에너지 등 전국의 분산전원과 전기 사용처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차세대 배전망 관리시스템'(ADMS)이 구축됐다. 전력 계통 현황 분석을 통해 출력제어를 최소화하고 전력망 사용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4000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전력이 ADMS 전국 구축을 완료했다고 6일 밝혔다.
ADMS는 배전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분산형 전원, 전력사용량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고, 운영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이다. 분산에너지는 태양광 발전과 같은 재생에너지, 집단에너지 등 발전설비를 말한다.
배전망에는 분산에너지 전체 발전기의 99%(설비용량의 76%)가 연결돼 있다. 배전망 운영 효율화가 분산에너지 이용 활성화의 관문인 셈이다.
ADMS가 구축됨으로써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는 상당 부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보급된 재생에너지 발전원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큰 태양광의 경우, 일조량이 증가라면 발전량도 늘어나 전력계통에 부담을 주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전력 당국은 태양광 또는 다른 발전소의 출력을 제어해 계통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ADMS는 분산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송전망과 고객에게 전달하는 양방향 계통 운영 시스템이다. 기존에는 계통 안정성이 떨어지면 태양광 발전소의 출력을 완전히 차단했지만 앞으로는 ADMS를 통해 출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실시간 배전망 계통상황을 분석해 계통 여유시간에 재생에너지 활용을 늘리고, 기존 망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추가 망 건설비도 절감할 수 있다. 효과는 한전 추산 연간 4000억원에 이른다.
한전은 국내 ADMS 운영 실적을 토대로 해외 전력 계통 운영 시장에 진출한다는 목표도 밝혔다. 한전에 따르면 관련 시장은 연간 20% 이상 고속 성장 중이다.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은 이날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ADMS 전국 구축 완료 기념식에서 “올해는 분산법 이행이 본격화되는 시기로, 분산에너지에 적합한 전국 배전망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면서 “우리 연구진이 개발한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 무엇보다 뜻깊다”고 말했다.
조성우 기자 good_s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