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은 중소·벤처기업의 개방형 기술혁신과 첨단기술 이전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술 노하우관'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4일 밝혔다.
기술 노하우관은 기존의 정형화된 지식재산권뿐 아니라 기술문서와 소스코드, 기술지도 등 비정형 기술자료의 이전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보는 기술거래 플랫폼인 '스마트 테크브릿지'에 기술 노하우관을 신설해 공급 가능한 기술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중소기업이 보다 쉽게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기보는 기술 노하우관에서 제공되는 수요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하우 기술설명자료(SMK) 표준화와 다건 등록 지원 △노하우에 특화된 다양한 조건 검색 서비스 △키워드 기반의 기술 추천·매칭 등 맞춤형 중개 서비스를 운영한다.
이와 함께 기보는 이날 플랫폼의 주요 사용자이자 핵심 파트너인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과 간담회를 열고, 기술 노하우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특히 노하우 기술 이전 과정에서 우려되는 기술 탈취 및 유출 방지를 위해 기보가 운영하는 기술보호 플랫폼 '테크 세이프(Tech-Safe)' 활용 방안도 논의됐다.
기술 노하우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숙명여자대학교가 보유한 노하우 기술을 중심으로 우선 서비스를 시작하며, 향후 참여 연구기관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노하우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관련 자세한 사항은 기보 기술혁신센터를 통해 상담받을 수 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