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드론산업 공급망 자립과 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국가 차원 정책 추진체계가 닻을 올렸다. 우주항공청은 17일 호텔오노마 대전에서 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 출범식을 개최했다. 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는 국내 드론산업이 직면한 기체 및 핵심 부품 해외 의존
-
드론 핵심기술 자립 기반 구축…'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 공식 출범2025-06-17 12:00
-
기계연, '바이오파운드리' 장비 국산·지능화 시동...디지털 바이오 혁신 본격화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이 '바이오파운드리 핵심기기·장비 고도화 기술개발사업' 일환으로 '바이오파운드리 DX/AI 연구단'을 공식 출범했다. 국내 바이오산업 디지털 전환을 이끌 중대형 다부처 연구개발(R&D) 프로젝트다. 기계연은 17일 대전 본원 본관동 대회의실에
2025-06-17 12:00 -
포스텍-LG전자, 세계 최초 6G시대 이끌 멀티모달·멀티태스크 시멘틱 통신 기술 공개
포스텍(POSTECH)은 이남윤 전자전기공학과 교수팀이 LG전자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6G 시대를 이끌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기술은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국제 통신 분야 학술대회 'IEEE ICC'에서 소개돼 큰 관심을
2025-06-17 10:29 -
GIST,'청색기술·경제 심포지엄' 개최…지속 가능한 미래 위한 기술·철학 접점 조명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6일 오룡관 101호에서 '청색기술·경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이은지 GIST 신소재공학과(조직위원장) 주도로 기획했으며 연구지원팀의 후원 아래 '청색기술의 철학과 실천 가능성'을 주제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지속
2025-06-17 09:38 -
열 차단 능동 조절하고, 보행자 빛 공해도 막아...'더 똑똑한' 스마트 윈도우 나왔다
창호를 통한 열 유입이 전 세계 에너지 소비 약 40%를 차지하는 건물 부문에서도 냉·난방 에너지 낭비 주원인으로 지적되는 가운데,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연구진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 기술을 개발했다. 뿐만 아니라 도심 생활 속 '빛 공
2025-06-17 09:19 -
고령자 보행보조로봇 개발
광주과학기술원과 MIT 연구팀이 고령자를 위한 적응형 워커를 개발했다. 이 워커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해 속도와 균형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 동영상 콘텐츠는 더존비즈온 '원스튜디오'를 활용해 제작되었습니다.
2025-06-16 21:00 -
아리랑 6호 발사 내년 1분기로 연기…자력 발사 능력 빠른 확보 필요
우리나라 다목적실용위성 6호(아리랑 6호) 발사가 또다시 연기됐다. 아리랑 6호를 탑재할 해외 발사체 발사 일정으로 인해 연기됐지만, 업계는 해외 발사체 의존에 따른 발사 연기 반복이라는 점에서 자력 발사 체계가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16일 한국항공우주연구
2025-06-16 19:04 -
UST, 후기 2차 석·박사과정 신입생 모집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총장 강대임)는 2025학년도 후기 2차 석·박사과정 대학원 신입생을 모집한다. 이번 신입생 선발에는 한국기계연구원 스쿨,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스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스쿨 등이 참여한다. 인공지능(AI), 첨단바이오융합, 양자 정보 등
2025-06-16 18:26 -
철도연 조직개편...연구성과 실용화 및 조직문화 혁신 '중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사공명)은 연구성과 실용화 강화와 혁신적 철도기술 개발을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은 연구성과의 실용화 확대, 인공지능(AI) 및 디지털전환 등 철도교통 혁신연구 집중, 연구개발(R&D) 전략기능 강화 및 조직문화
2025-06-16 18:20 -
[人사이트]이승협 대구경찰청장 “AI·드론 등 활용해 과학 기반 미래치안 성공 모델 만들것”
“과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경찰도 인공지능(AI) 기술 적용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변화하는 치안환경에 대응해야 합니다.” 7대 특별·광역시 중 체감안전도 1위를 유지하면서, 끊임없는 혁신으로 미래사회에 선제 대응하는 경찰이 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실무에
2025-06-16 17:32 -
국가총력체계로 AI 기술·인재 확보 필요...IITP, 'AX 이니셔티브' 소개
“가열되는 인공지능(AI) 패권 경쟁 속에 우리가 AI 대전환(AX) 2.0을 이루려면 변화가 절실합니다. 가장 위험한 말은 '여태껏 이렇게 해왔어'입니다.” 홍진배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원장은 16일 서울 마포 SW마에스트로 연수센터에서 열린 1차 'IITP
2025-06-16 17:17 -
KAIST, '이노코어 연구단' 출범...AI 융합 혁신 주도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정부 및 다른 과기원과 함께 AI 융합 첨단 전략 연구를 이끌 '이노코어(InnoCORE) 연구단'을 출범하고, 박사후연구원 최대 200명 채용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및 대구경북과학기술원(D
2025-06-16 14:00 -
KAIST 'AI 신약' 개발 새 판 마련...21개 화학반응 동시 분석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이 세계 최초로 21종 반응물을 동시·정밀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인공지능(AI)·로봇을 활용하는 신약 개발에 획기적인 기여가 기대된다. KAIST는 김현우 화학과 교수팀이 'AI 기반 자율합성(AI를 활용해 화학 물질 합성 과
2025-06-16 13:49 -
한·EU 반도체 연구자 한 자리…제2회 한-EU 반도체 연구자 포럼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제2회 한-EU 반도체 연구자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한국과 유럽연합(EU)이 지난해부터 진행 중인 반도체 연구 협력 성과를 공유하고, EU 외 미국, 영국 등과 국제 공동연구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2025-06-16 12:00 -
산업계 리더 새정부에 바란다 “AI 대전환 지원, R&D 예산 확대 절실”
산업 오피니언 리더들은 가장 시급한 새정부 정책으로 '인공지능(AI) 대전환 지원' '연구개발(R&D) 예산 확대'를 꼽았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가 16일 발표한 '새 정부 정책공약 산업계 오피니언 리더 100인에게 묻다' 설문 결과에서다. 산기협은 기업
2025-06-16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