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차세대 인터넷 표준 HTML5를 적용한 웹 방식의 IPTV를 상용화했다. 케이블 방송 티브로드에 이어 IPTV 사업자도 HTML5 플랫폼을 도입하면서 안드로이드·iOS 등 글로벌 운용체계(OS)에서 벗어난 개방형 TV 플랫폼의 도전이 본격 시험대에 올랐다. KT는 HTML5 기반 IPTV `세계 최초` 서비스를 내세우며 글로벌 진출도 꿈꾸고 있다.

KT미디어허브(대표 김주성)는 22일 서울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HTML5 기반 차세대 IPTV 서비스 `올레TV 스마트`를 발표했다.
HTML5 TV 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앱)이 아닌 웹으로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웹 방식으로 전환되면 안드로이드·iOS·윈도 등 어느 OS나 존재하는 웹 브라우저로 어떤 앱이든 구동할 수 있다. OS 파편화에 따른 콘텐츠 이용 제한의 불편함이나 콘텐츠 개발의 어려움이 사라진다.
KT는 방송과 웹 콘텐츠를 융합한 매시업(Mash-up) 서비스로 승부수를 띄웠다. TV를 보면서도 한 화면에 각종 방송 정보 등을 함께 공유하는 기능을 결합했다.
예를 들어 이번에 출시한 `스마트 야구중계`는 프로야구 중계방송을 보는 도중 현재 타석에 들어선 선수의 개인 정보, 상대전적, 현재 타 구장의 경기 상황 등을 함께 볼 수 있다. 주요 장면을 즉석에서 다시 볼 수도 있다. `인터넷 야구중계`에서만 가능했던 기능을 모두 TV에서 실현할 수 있는 셈이다.
KT는 앞으로 골프, 축구, 농구 등 전문 스포츠 영역과 여행, 요리 등 정보형 서비스 영역으로 매시업 콘텐츠를 확대할 계획이다.
HTML5에 최적화된 콘텐츠와 서비스도 대거 선보였다. 스마트폰을 연동시켜 사용자의 발음교정과, 회화연습 등 일대일 영어 교육서비스가 가능한 `21 잉글리시`, 고객 수준별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신개념 홈스쿨링 프로그램 등을 내놨다.
웹에서 만든 콘텐츠를 TV에 옮기고, 모바일로 연동하는 클라우드 게임, 클라우드 DVD, 스마트 개인방송 서비스도 제공한다. 다음 달부터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DVD`는 한 번 구매한 콘텐츠를 영구 소장할 수 있다. N스크린을 지원해 스마트폰, 태블릿 기기, TV 등에서 `이어보기`가 가능하다.
KT는 연내 HTML5 플랫폼을 안정화시키고 1000억원 동반성장 펀드를 적극 활용해 우수 개발사 육성과 지원하는 등 IPTV 콘텐츠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투자펀드 600억원과 대출펀드 400억원 가운데 대출펀드는 몇몇 개발사에 지원을 시작했다. 7월 말 KT가 발표한 동반성장 생태계가 가시화된다.
KT는 HTML5 플랫폼 출시를 계기로 현재 450만명의 올레 IPTV 가입자를 연말까지 500만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김주성 KT미디어허브 대표는 “웹에 있는 모든 것을 TV에서 구동할 수 있는 개념은 기존 방송과 완전히 다른 차원의 서비스”라며 “KT가 세계 최초로 만든 이 서비스를 세계 표준으로 육성해 수출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