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정부의 인터넷 개인정보 이용 행태를 조사하고 온라인에서 시민권 보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국제기구가 조직됐다.
23일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총회에서 `인터넷 거버넌스 국제 위원회`가 출범했다. 위원회는 위원장인 칼 빌트 스웨덴 외무장관을 포함해 영국 정보통신본부(GCHQ) 본부장을 역임한 데이비드 오맨드 경과 마이클 처토프 전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 등 세계 최고위급 정책 결정자와 정치인 25명으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2년간 활동하며 국가의 통제 확대로 인터넷에 대한 신뢰가 하락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이와 관련한 국제법을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세계적 싱크탱크인 영국 채텀하우스와 캐나다 국제거버넌스혁신연구소(CIGI)가 위원회 활동을 뒷받침한다. 빌트 장관은 “인터넷 자유와 인터넷 보안, 인터넷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인터넷 자유는 정보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만큼 핵심적 가치”라고 말했다.
다보스 포럼에 참석한 IT 기업인도 미국 정보기관의 개인 정보 감시 행태를 비판하며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마리사 메이어 야후 최고경영자(CEO)는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 이후 IT 기업의 신뢰도가 깎였다며 “우리가 (정부로부터) 얼마나 많은 정보 제공 요청을 받는지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존 챔버스 시스코 CEO도 “모든 사람이 받아들일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자”고 강조했다. 랜들 스테판 AT&T CEO 역시 “법 규제가 기술 변화에 뒤처져 정보기관이 개인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됐으며 명확한 지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외국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미국 밖에 서버를 추가 설치하고 개인 정보를 따로 저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보기관의 감시 활동에 대응하는 것으로 대부분 미국 IT 기업이 이용자 정보를 미국 내 서버에 보관한다.
유효정기자 hjyo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