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환경산업 실증화단지 밑그림 완성

상용화를 앞둔 환경기술의 시제품 제작과 판로개척 등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산업 실증연구단지 조성사업 밑그림이 완성됐다.

환경부는 인천광역시 수도권매립지 인근 부지에 조성되는 환경산업 실증연구단지에 물, 폐기물, 대기, 생활환경 분야 80여개 환경기업을 입주시킬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단지 내에는 연구시설과 기술·제품 실증시설, 시제품 생산지원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실증연구단지는 1560억원의 국비가 투입되는 사업으로 환경기업의 상업화 단계 진입을 지원하고 시제품 생산에서 수출까지 기업 전 과정의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입주기업 모집을 위한 사전 수요조사에선 157개 환경기업이 실증연구단지 입주 의사를 밝혔다. 환경부는 우선 입주의향 기업들이 종사하고 있는 4대 환경 분야(물, 폐기물, 대기, 생활환경)를 중심으로 기업을 모집할 계획이다. 분야별 기업 비중은 물이 42.4%로 가장 높고 폐기물(27.3%), 대기(22.5%), 생활환경(8.8%)이 그 뒤를 따랐다. 단지 입주는 기업연구소를 원칙으로 하되 기업 규모가 작으면 본사 입주도 허용한다.

입주기업은 3~5년까지 실증연구단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최초 3년 계약 후 필요 시 평가를 거쳐 2년까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고,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 평가를 거쳐 추가로 2년을 재연장할 수 있다.

환경부는 실증연구단지 조성을 통해 개발기술의 현장 적용과 상용화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실증시험을 위한 공간과 시설, 장비 지원에서 시험 전반의 모니터링 업무도 대행한다. 또 기술, 경영, 행정, 자금의 4개 분야에서 성장단계에 따른 지원으로 환경기업의 창업·보육을 진행하고 환경기술 거래 네트워크 구축 등 기술이전과 교류를 위한 중개기관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실증연구단지는 기술개발이 아닌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시설”이라며 “연구소 테스트에서부터 파일럿, 실증연구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고 상용화 제품의 수출까지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