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AS 불만 목소리 높아지는 3D프린터…붐 이어가기 위한 대책 절실

#3D프린팅 교육업체 A사는 최근 외부 출장교육 중 황당한 상황을 겪었다. 내부 테스트 과정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던 3D프린터가 현장에서는 노즐이 재료(소재)를 발판(베드)이 아닌 허공에 계속 발사한 것이다. 이동 중 내부 축이 흔들린 결과다. 다수의 3D프린터를 테스트했다는 A사 관계자는 “‘이런 수준의 제품을 팔아도 될까’라는 생각이 드는 3D프린터가 여럿 있다”고 전했다.

#제조업체 B사는 3D프린터 유통업체의 애프터서비스(AS) 정책을 듣고 깜짝 놀랐다. 해외에서 구매한 3D프린터의 AS를 요청하자 하루 10만원을 요구한데다가 고치지 못하더라도 수리비는 받겠다는 것이었다. B사 임원은 “도대체 하루에 몇 시간 수리하는지 어떻게 알겠느냐”며 황당해했다.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각광을 받는 3D프린팅 산업이 일부 업체의 완성도 떨어지는 제품(3D프린터)과 외국산 제품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부실한 애프터서비스(AS)로 인한 이용자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시장 초창기여서 불가피하다는 시각도 있지만 자칫 3D프린팅산업이 꽃도 피지 못한 채 시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최근 일기 시작한 3D프린팅 붐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정부가 막연히 대중화에만 나설 것이 아니라 현재의 3D프린팅 기술 수준을 정확히 알리는 동시에 출시 제품에 대한 관리 감독도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3D프린터 사용 업체가 늘어나면서 잦은 고장에 따른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모 3D프린팅 소프트웨어(SW) 개발사 관계자는 “‘구매하고 3주내 AS를 안 받은 제품이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고장이 많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3D프린팅산업 로드맵을 만드는 정부기관 관계자도 “개발자 5~10명이 적당히 작동하는 수준으로 개발해 시장에 내놓는 경우가 있다”며 “판매하다가 미흡하면 보완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걱정했다.

AS에 대한 불만은 대개 외국산 제품에 집중된다. 과다한 AS비용이 문제다. 1억원대 산업용의 경우 3D프린터 가격의 10%를 연간 유지관리 비용으로 요구하는 곳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전문가들은 3D프린팅 산업의 잠재력은 인정하되 활용성에 대한 확대 포장은 안 된다고 경고한다. 주승환 부산대 교수는 “지금은 3D프린팅 산업 초창기로 아직까지는 개발자나 전문 사용자를 위한 제품”이라며 “일반인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획기적인 기술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직은 전문가용인 만큼 일반인에게 사용 편의성에 대한 막연한 장밋빛 기대를 갖게 해서는 안 된다는 설명이다.

출시된 3D프린터의 성능에 대한 평가와 이의 고지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를 위해 정부의 역할론도 들린다. 모 3D프린터업체 임원은 “3D프린터는 고속으로 수시간 연속 움직여야 원하는 출력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고장을 원천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제품의 신뢰성과 기능 등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정부와 업계가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