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 싼 심야전기 `옛날 얘기`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심야전기 판매량 추이

심야전기가 싸다는 통설은 옛날 얘기가 됐다.

한국전력이 심야전기 요금을 꾸준히 인상하면서 밤에 값싼 잉여에너지처럼 사용했다간 낭패를 볼 수 있다. 정부가 전기차·전력저장장치(ESS) 국민 활용을 확대하면서 심야전기 사용을 권장하고 있어 향후 요금정책을 어떻게 펴나갈지 주목된다.

값 싼 심야전기 `옛날 얘기`

심야전기요금은 전기사용이 적은 심야시간(오후 11시∼다음날 오전 9시)에 축열·축냉 기능을 갖춘 심야 전력기기를 충전하는데 적용하는 요금제다. 낮시간 냉·난방을 할 때 쓰는 전기요금보다 싸 심야전기보일러 설비를 갖춘 사용자에게 공급해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한전이 심야전기 요금을 계속 인상하면서 사용자로부터 요금부담이 커졌다는 불만을 샀다. 한전은 지난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심야전기(갑)요금을 ㎾h당 겨울은 29.80원에서 72.50원으로, 이외 계절은 26.90원에서 52.60원으로 높였다. 갑요금을 적용받는 수요자 중 70%가 일반 가정으로 과거 10년 전과 비교할 때 두 배 이상의 비용부담이 발생한 셈이다.

심야전력 냉난방기기 업계는 보통 심야용 전기보일러는 일반 가정 한달 전력사용량보다 많은 월 500㎾h 이상을 소비하기 때문에 체감 상승폭이 더욱 클 것으로 보고 있다. 2013년 기준 심야전기보일러 보급대수는 51만4000대에 이른다.

심야전력으로 난방하는 한 소비자는 “최근 심야전기 가격이 오르면서 용량이 큰 전기보일러 요금 부담이 더 커졌다”며 “잉여 전력 활용 차원에서 심야전력 사용을 권장했던 것과 달리 요금 인상 폭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한전이 심야전기 가격을 올리는 이유는 그동안 심야전기 수요가 많이 늘었고, 최근 몇 해 동안 전력부족으로 발전원가가 상대적으로 비싼 LNG발전소가 심야전력을 생산해왔기 때문이다. 심야전기요금 시행 초기엔 값싼 원전으로 전력공급이 가능했지만 전력 부족시기엔 LNG발전까지 가동해 심야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상황이 연출됐다.

심야전기 수요가 늘면서 한전의 2008년 심야전력 원가부족액, 즉 손실액은 6359억원에 달했다. 지난 2002년부터 2013년까지 누적손실액은 3조6730억원을 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소비자 부담을 덜고 전기보일러 전력 사용량을 절반가량 줄일 수 있는 축열식 히트펌프보일러 보급 지원사업이 시작됐지만 성과는 미미하다. 대당 1000만원에 달하는 높은 가격으로 한전 보조금 외에 800만원의 비용을 지불해야만 교체할 수 있다. 지난해 3000대 보급 목표였지만 800여대에 그쳤고 올해 목표 7000대 달성도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에너지 신산업 육성으로 전기차, ESS 등 또 다른 심야전력 사용 수요가 추가될 수 있어 요금 인상 여지는 더 있다.

전력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차원에서 전기차, ESS 등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 중이지만 전기차와 ESS 등이 활성화되면 심야전기 사용량과 요금은 더 늘어날수 있다”고 말했다.

<심야전력(갑) 요금 변화 추이(단위: 원/㎾h) / 자료: 한국전력 전기요금표 취합>


심야전력(갑) 요금 변화 추이(단위: 원/㎾h) / 자료: 한국전력 전기요금표 취합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