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엔테크]스마트키 대체하는 '스마트폰 車키'

쌍용자동차가 스마트키(Key)의 기능을 스마트폰으로 확장, 일반 스마트키의 단점을 극복할 기술 개발에 나섰다. 일반적인 스마트키와는 달리, 경제성과 편리성에 차별화를 뒀다.

실수로 스마트키를 집에서 챙기지 않은 경우나 운동을 위한 간편한 복장 착용에도 스마트폰만으로 차량 진입과 시동 등 기존의 기능을 대체하는 건 기본이다.

기존 스마트키는 화면이 없어 차량의 상태 정보 확인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일부 스마트키 업계는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액정을 스마트키에 적용했으나 비싼 가격과 제품 크기, 배터리 방전량 등 이유로 대중화를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쌍용차가 개발중인 스마트폰 기반의 스마트키는 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시켜준다. 이 기술은 커넥티드카의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단순한 스마트폰 연동 기능과는 달리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기반으로 완성도를 높였다.

커넥티드카 서비스는 매달 통신 월정액을 지불, 이동통신망을 활용하는 구조다. 이는 거리 제한이 없이 대부분의 원격기능을 수행하지만, 차량 시동을 위해서는 차량 키(스마트 키) 인증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반면에 쌍용차가 개발 중인 스마트폰 차량키는 업계 최초로 BLE 통신 기술을 활용했다. 이 때문에 월정액을 낼 필요가 없으며 원격 기능은 단거리로 제한되지만, 여러모로 편리하다.

쌍용차가 개발 중인 스마트키 통신방식 개념.
쌍용차가 개발 중인 스마트키 통신방식 개념.

스마트폰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스마트키 인증 없이 차 시동이나 문 열림 등의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스마트폰 배터리 방전 시에는 근거리무선통신(NFC) 통신을 이용해 차량의 특정부위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기존의 모든 기능을 쓸 수 있다.

BLE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은 현재까지 양산 사례가 없다. BLE 통신기반 스마트키의 경우 기존 무선주파수(RF)나 저주파(LF) 기반의 스마트키보다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정밀한 기술 개발이 어렵기 때문이다.

스마트키에 적용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개념도.
스마트키에 적용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개념도.

하지만 쌍용차는 위치 측정을 위해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위치분석 기술을 적용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전계강도 수신측정 기반의 RSSI(무선통신의 수신신호에서 측정되는 전력의 세기(dbm)) 기술은 위치 측정 오차범위가 커 스마트키(휴대폰)의 실내외 위치를 제대로 판단할 수 없다. 반면 쌍용차는 삼각측량법 기술로 BLE ANT 3개를 이용해 RSSI 강도 세기를 측정, 개별 ANT의 거리를 계산한 후 정확한 좌표값을 취득한다. 쌍용차의 이 같은 기술 개발은 실차 수준의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높여야 하는 과정이 남은 상태다.

쌍용차 스마트키 개념도.
쌍용차 스마트키 개념도.

스마트키 개발의 또 다른 문제점은 보안 문제 해결이다. BLE 통신 적용에 따른 해킹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쌍용차는 스마트키가 차량 인근에 접근하게 되면 스마트키·BLE 모듈·인증제어기는 별도의 보안 알고리즘 적용돼, 인증된 스마트키(휴대폰)에 한해 인식되도록 했다.

쌍용차 관계자는 “BLE 통신을 이용한 미래형 스마트키 개발을 위해 BLE 측위기술 및 보안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며 “개발 완료시 향후 운전자는 별도 스마트키의 소지 없이 휴대폰 하나만으로 차량 운행은 물론 차량정보의 취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준 자동차 전문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