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HMM 부활과 남은 과제

류태웅 산업에너지부 기자.
류태웅 산업에너지부 기자.

“HMM이 최대 실적을 올릴 수 있게 된 것은 정부 지원 덕이다.”

최근 문재인 정부의 해운재건 5개년 계획(2018~2022년)을 긍정 평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HMM이 지난해 9808억원에 이르는 최대 영업이익을 올리면서이다. HMM 부활은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의 핵심이었다. 정부는 국적 원양선사인 이 회사 선복량과 선대를 빠르게 확대, 박근혜 정부 시절에 파산한 세계 7위 한진해운을 최단 시간에 대체하는 효율 전략을 취했다.

과정은 신속했다. 정부는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컨트롤타워 '한국해양진흥공사'(KOBC)를 설립했다. HMM은 KOBC로부터 지원받아 2만4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12척을 발주했고, 세계 3대 해운동맹인 '디(THE) 얼라이언스' 정회원에 가입했다. 선복 공유 등 동등한 조건을 인정받게 된 것이다. 몸집이 커지기 전의 2M(머스크·MSC)과 해운동맹에서 준회원에 그치고 불공정 계약을 강요받던 것과 대비된다.

HMM은 2020년 4월부터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유럽 항로에 투입했다. 이를 계기로 2015년 2분기 이후 21분기 만인 2020년 2분기에 첫 흑자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해운재건 계획 이전의 HMM 주력 선종은 6000~9000TEU로, 현재 초대형 컨테이너선 대비 약 3분의 1 크기에 불과했다”면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원가를 낮추고, 화물을 3배 안팎 더 싣게 되면서 최근 가파른 해운 운임 상승 수혜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과제도 있다. 정부가 HMM 등 해운업계에 총 200척 발주를 지원하긴 했지만 상대적으로 연근해 선사에는 소홀했다는 목소리도 있다. 빈틈없는 신속한 맞춤 지원책이 요구된다. 해운업계는 선복 규모와 관계없이 자원 하나 없는 우리나라를 경제 대국으로 이끌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화물을 싣고 나르는 등 수출에 일조했다. 정부는 해운업계를 앞으로 부침 없이 전략 지원해야 한다. 업계도 과당경쟁을 줄여 상생해야 한다. 경제 강대국의 길은 수출 경쟁력과 직결되는 해운업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