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테이퍼링 착수…韓 금리인상 압박 효과

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이 미국 테이퍼링 결정 이후 4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주재했다. (사진=기획재정부)
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이 미국 테이퍼링 결정 이후 4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주재했다. (사진=기획재정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에 착수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악영향에 따른 양적완화를 줄여 나가는 통화정책 정상화의 신호탄을 쐈다. 연준은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상은 논의하지 않았다며 선을 그었지만 테이퍼링이 마무리되는 내년 중순 이후부터 금리 인상이 시작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연준은 2일과 3일(현지시간) 이틀 동안 FOMC 회의를 개최하고 이달부터 자산매입 규모를 매월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매월 총 150억달러를 축소하되 내년 이후에는 경제 전망 변화에 따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금리 인상 관련 논의는 별도로 이뤄지지 않았다.

한국은행은 4일 FOMC 관련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결과가 시장 예상과 대체로 부합했지만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테이퍼링 속도, 금리 인상 시기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만큼 필요 시 국고채 매입 등 시장안정화 조치를 하기로 했다.

미국이 테이퍼링 종료 후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하면 우리나라는 외국인 투자자 유출을 막기 위해 더 높은 수준의 기준금리를 유지해야 한다.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면 가치가 더 높아진 달러를 좇아 외국인 투자자의 돈이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국내 금리 인상 압박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개최되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미 코로나19 위기로 가계대출이 폭증한 상황에서 금리가 인상되면 가계 채무 부담이나 기업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나 금리 불균형이 여전하고 물가 인상 속도가 빨라 여전히 현 금리 수준이 완화적이라는 것이 한국은행 판단이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