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안전사고 근절 위한 특별대책 발표…감전·끼임·추락 등 주요 재해 예방한다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가운데)이 9일 서울 서초구 한전 아트센터에서 안전사고 근절을 위한 특별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한국전력 제공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가운데)이 9일 서울 서초구 한전 아트센터에서 안전사고 근절을 위한 특별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한국전력 제공

한국전력공사가 감전·끼임·추락 등 3대 주요재해 사고예방 대책을 보강하고, 올해 총 2조5000억원 규모 안전 예산을 편성한다. '효율중심의 현장 관리'에서 '안전중심의 현장 관리'로 전기공사 현장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한전은 9일 서울 서초구 한전 아트센터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안전사고 근절을 위한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한전은 지난해 여주지사 관내 전기공사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에 대응해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한전은 '선(先)안전 후(後)작업'으로 감전·끼임·추락 등 3대 주요재해별 실효 대책을 강화한다.

우선 '감전사고' 근절을 위해 작업자와 위해요인을 물리적으로 분리해 '전력선 접촉(직접활선)' 작업을 퇴출하고, 감전사고 사례가 없는 '전력선 비접촉(간접활선)' 작업을 확대한다. 2018년 이후 간접활선 작업으로 전환하고 있지만 약 30%는 직접활선 작업이 여전하다. 전력공급에 지장이 있더라도 감전 우려가 없는 '정전 후 작업'도 확대한다.

한전은 '끼임사고' 근절을 위해 작업용 특수차량에 밀림 방지장치 설치를 의무화한다. 전기공사용 절연버켓(고소작업차) 차량 밀림 사고 예방을 위해 '풋브레이크와 아웃트리거간 인터락(Interlock) 장치와 고임목'을 반드시 설치한 이후 작업에 투입한다. 인터락은 2인1조로 운전수가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만 아웃트리거를 조작하도록 해 안전성이 높다.

절연버켓에 대한 기계적 성능 현장확인 제도도 도입한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고임목 설치 여부를 확인한 후 작업을 시행한다.

'추락사고' 근절을 위해 작업자가 전주에 직접 오르는 작업을 전면 금지한다. 모든 배전공사 작업은 절연버켓(고소작업차)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절연버켓이 진입하지 못하거나 전기공사업체 장비수급 여건이 곤란하면 해당 사업소가 사전 안전조치를 검토한 후 제한적으로만 예외를 적용하도록 한다. 철탑작업에 대해서는 2023년까지 전국 4만3695개소 철탑에 추락방지장치를 설치한다. 추락방지망 설치 위치를 철탑 최하단 암(Arm) 하부 10미터(m)로 조정한다.

전기공사업체 관리체계를 바꿔 안전혁신체계 구축도 유도한다. 모든 전기공사 현장에 1공사 1안전담당자를 배치하게 한다.

사전에 신고 된 내용이 실제 공사현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력·장비 실명제를 도입한다. 불법이 발견되면 즉시 공사중단(line-stop) 조치를 시행하고 해당 업체에 페널티를 부과한다. 무사고 달성, 안전의무 이행 우수 업체 등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를 확대한다.

이외 전기공사업체 간 직원 돌려쓰기, 불법하도급 등 부적정행위가 적발되면 한전 공사 참여 기회를 박탈하는 '원 스트라이크 아웃(One-Strike Out)' 제도를 도입한다. 전국 15개 전문교육기관에 배전 전문회사 종사자를 위한 숙련·안전교육을 확대한다.

한전은 올해 전년 대비 약 2000억원 증액한 총 2조5000억원 안전예산을 편성한다. 안전설비 확충, 공법 안전성 강화 등을 위해 투입한다.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9일 서울 서초구 한전 아트센터에서 안전사고 근절을 위한 특별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한국전력 제공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9일 서울 서초구 한전 아트센터에서 안전사고 근절을 위한 특별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한국전력 제공

정승일 한전 사장은 “한전은 안전은 무엇과도 타협할 수 없다는 원칙을 전 직원이 되새기면서 올해를 중대재해 근절 원년으로 만들겠다”면서 “지금까지 '효율 중심 현장 관리'에서 '안전 중심 현장 관리'로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