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국제유가가 90달러를 넘어서며 물가상승을 자극하고 중국의 경기불안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제조업 생산 부진이 점차 완화되고 있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이 하반기 반등 흐름을 제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7일 발표된 'KDI 경제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전산업생산은 기저효과, 조업일수 감소 등 기술적 요인과 기상여건 악화 등 일시적 요인이 작용하면서 전월(0.7%)보다 낮은 -1.4% 증가율을 기록했다.
자동차 생산이 10.8%에서 6.2%로 증가폭이 축소된 가운데 전자부품은 -11.6%에서 -19.8%, 기계장비는 -8.0%에서 -14.5%로 크게 감소했다. 반도체 또한 두 자리수 감소세를 이었다. 재고율 또한 112.3%에서 123.9%로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경기적 요인보다는 반도체 출하 계절성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광공업생산 부진에는 조업일수가 1일에서 0일로 감소하는 등 일시적 요인이 작용했다”면서 “8월 수출 감소폭이 -16.4%에서 -8.4%로 축소된 것을 감안하면 광공업생산 부진이 완화되는 흐름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반도체 수출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는 있으나, 중국 경기불안으로 기업심리가 하락하는 가운데 국제유가가 상승하는 등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반도체 생산 증가폭은 5월(-18.7%)에서 6월(-15.8%), 7월(-14.8%) 등 줄어드는 추세고, 반도체 일평균 수출액 또한 7월(-33.6%)에서 8월(-20.6)로 감소세가 줄었다.
설비투자 또한 부진이 지속될 것을 시사했다. 7월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 모두 감소하며 전월(-2.4%)보다 하락한 -11.0% 증가율을 기록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71.8%에서 70.2%로 낮은 수준에 그쳐 기업들의 설비 수요가 높지 않음을 나타했으며 설비투자 관련 선행지표도 부진을 지속했다.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높아졌다. 석유류는 -25.9%에서 -11.0%로 물가 감소폭이 대폭 축소되고, 기상여건 악화로 농산물이 0.3%에서 5.4%로 물가 상승폭이 확대됐다.
중국의 경기불안 우려가 증대되고 국제유가 상승으로 물가 상방 압력이 확대되는 등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블룸버그는 올해 중국 성장률 전망을 6월 5.5%에서 7월 5.2%, 8월 5.1%까지 점차 낮춘 바 있다.
정 실장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체감경기지수(BSI)가 하락하며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면서 “국제유가 상승으로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확대되면서 경기 부진 완화 흐름을 일부 제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