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홈쇼핑 산업과 관련한 태스크포스(TF)가 여럿 생겼다. 홈쇼핑 현안을 논의하는 '홈쇼핑 산업 경쟁력 강화 TF', 케이블TV 지역 판매 방송을 추진하는 '지역채널 커머스 방송 TF'가 대표적이다. 지난주에는 미디어·콘텐츠산업융합발전위원회(융발위) 발전 방안을 이행하기 위한 '방송법 개정 TF'가 킥오프 회의를 가졌다.
한 때 '황금알 낳는 거위'로 불렸던 홈쇼핑 산업은 완연한 하향세다. 지난해 TV홈쇼핑 7개사는 취급고·매출·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다. 데이터홈쇼핑(T커머스) 단독 사업자 5개사도 출범 이후 첫 역신장을 기록했다. 홈쇼핑 산업 위기가 유료 방송 시장 전반으로 번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TF에 대한 업계 반응은 냉랭하다. 이전과 같은 '보여주기식' 액션에 그칠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과거에도 홈쇼핑 제도 개선을 위한 정부의 노력은 존재했다. 하지만 해결사를 자처했던 여러 부처 담당자는 팽팽한 줄다리기 싸움을 지켜보다 흐지부지 돼왔다.
최근 생겨난 TF 내막을 들여다봐도 비슷하다. 홈쇼핑 산업 경쟁력 강화 TF는 △T커머스 제도 개선 △홈쇼핑 재승인 조건 완화 △송출수수료 등 세 가지 의제 뒤에 비공식 안건으로 소상공인 전용 T커머스 신설을 끼워 넣었다. 지역 채널 커머스 TF도 마찬가지다. 사실상 '유사 홈쇼핑'이 난무할 수 있다는 홈쇼핑 업계 의견이 반영될 지 의문이다.
유료 방송 시장 전반에 위기감이 돈다. 홈쇼핑만 챙길 것이 아니라 유료 방송 시장 이해관계자 모두를 아우르는 정책이 필요하다. 다만 방송 생태계가 선순환하기 위해서는 홈쇼핑 산업 진흥이 필수적이다.
십수년전 설정된 규제에 묶인 홈쇼핑은 이제 신사업 구상 대신 비용 절감 방안만 고민하고 있다. 확실한 제도 개선을 통해 홈쇼핑 산업에 활기를 불어 넣을 때다.
민경하 기자 maxk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