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선 핵심 격전지로 부상…특위·비전 경쟁 '가열'

국힘·민주·혁신당, AI특위서 대선 공약 만든다
기술 공약 넘어 '비전 경쟁' 가늠자로 급부상

[AI 생성 이미지]
[AI 생성 이미지]

6월 대선을 앞두고 인공지능(AI)이 각 정당 대선 전략의 핵심 의제로 부상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에 이어 조국혁신당까지 AI특별위원회를 공식 출범시키면서, 주요 정당 모두가 AI 전문조직을 갖추고 공약 경쟁에 본격 나섰다. AI가 차기 대통령 경제·산업 공약 성패를 좌우할 격전지가 될 전망이다.

조국혁신당은 9일 이해민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AI특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이에 따라 여야 3당 모두가 AI 전문위원회를 통해 대선 공약 개발에 착수한 가운데, 각 당의 전략적 접근 방식과 AI 비전 경쟁이 대선 정국의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특위 규모는 국민의힘의 'AI 3대 강국 도약 특별위원회'가 가장 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70와 행정안전위원회 등에 소속한 의원 15명이 참여한다. 국민의힘 내 특위 가운데 가장 많은 의원이 참여하고 있다. 특위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콘텐츠·인재양성 등 4대 분야로 나눠 정책 개발을 하고 있다. 지난해 출범 이후 다양한 토론회과 현장 방문을 가졌다. 다만 위원장인 안철수 의원이 대선 경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특위 활동의 변화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초 이달 초로 예정됐던 'AI 인재 양성' 토론회는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일정으로 연기된데 이어 이달 중순 재개를 추진하고 있다.

추진 동력은 더불어민주당이 앞선다. 민주당은 지난달 초 'AI강국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이재명 대표가 직접 위원장을 맡아 지도부 차원에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 대표는 “AI는 당이 주력해야 할 미래 의제”라며, AI 국민펀드 조성 등 대규모 투자 계획을 공개한 바 있다. 위원회는 공공성과 윤리, 사회적 전환을 강조한 정책 설계를 목표로 하며, 주요 AI 기업들을 싱크탱크로 두고 있다.

조국혁신당은 '전문성'을 내세운다. '구글 출신' 이해민 의원이 위원장을 맡아 'AI+X' 융합형 정책을 예고했으며, 디지털 권리 확보와 AI 정책 연계를 강조했다. 정당 규모와 정책 실행 인프라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 만큼, 향후 민주당과의 정책 공조 가능성도 거론된다.

실제 이해민 위원장이 민주당의 '10만 AI 인력 양성' 공약에 공개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밝히자, 이재명 대표는 “머리를 맞대자”고 화답한 바 있다. 향후 두 정당이 공동 공약 마련 또는 정책 공유 등으로 확장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실제 이 위원장은 “조국혁신당의 AI특위에서 논의되는 정책들이 초당적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브릿지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태훈 서강대 교수는 “AI는 전문가 중심 기술 논의를 넘어, 정당의 정체성과 리더십을 가늠하는 정치적 의제로 떠올랐다”며 “대선을 앞두고 각 당이 어떤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느냐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