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는 전국 지방자치단체로는 최초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동시에 지원하는 '중추기업 전담제'를 도입하는 등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고 13일 밝혔다.
중추기업 전담제는 중소기업에 초점을 둔 기업 지원 방향을 대기업과 중견기업까지 확대하고 기업 지원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 골자다.
도는 중추기업 전담제를 비롯해 중견기업 육성 정책, 1기업 1공무원 전담제 고도화 등 전북형 기업 지원 3대 핵심 전략을 마련했다. 전북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청 기업유치지원실, 미래첨단산업국, 농생명축산산업국 등 기업 관련 부서 과장부터 팀장, 출연기관 본부장 등 70여 명을 중추기업 전담인력으로 지정해 기업별 밀착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중추기업 전담인력은 기업을 직접 방문해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현장 중심의 밀착 관리에 들어간다.
자금 문제와 판로, 노사, 수출입 관련 부서 및 분야별 전문가와 연계해 맞춤형 해결책을 제공하고 다양한 채널로 기업 동향을 정기적으로 파악한다. 기업의 위기가 감지되면 도지사에게 직보하는 체계도 갖춘다.
도는 중견기업 육성 정책으로 중견기업의 지원전략도 체계적으로 수립해 실행한다. 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성장 전략 공유 워크숍,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지역 유관기관과의 연계 강화, 도의회 관련 조례 제정 등 중견기업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중앙정부와 협력해 규제 개선과 세제 혜택 등 다각적인 지원책을 마련함으로써 도내 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할 방침이다.
도는 1기업 1공무원 전담제 고도화로 기존 전담제의 양적 확대를 넘어 질적 내실화를 통해 실질적인 기업 애로 해소 역량을 높일 계획이다. 정책 및 규제, 기술, 창업 등 7개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무역협회, 신용보증재단 등 15개 유관기관과 협력해 협업 거버넌스를 새롭게 구축한다.
이 밖에 기업 지원 부서와 분야별 전문가가 동행한 가운데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원 킬 솔루션을 운영해 기업 애로 해소에 나선다. 전담 공무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현장 방문 교육을 추가해 실무 강화에 나서며 기업 애로 접수 및 처리의 일관성을 높이기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을 마련해나갈 예정이다.
김인태 전북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은 “도내 기업에 대한 단편적인 지원을 넘어 행정이 기업의 성장 동반자로서 함께 발로 뛰겠다”고 말했다.
전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