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도 신제품도 없다…애플 WWDC25 '혁신 실종'

애플 신규 OS의 UI 디자인 '리퀴드 글래스(Liquid Glass)'
애플 신규 OS의 UI 디자인 '리퀴드 글래스(Liquid Glass)'

애플이 올해 세계개발자회의(WWDC 2025)에서 자사 전 제품군에 걸친 디자인 통합과 운용체계(OS) 명칭 정비를 단행하며 소프트웨어 혁신에 나섰다. 다만 기대를 모았던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능은 차별화된 성과 없이 기능 개선 수준에 그쳤다. 매년 행사에서 보여주던 하드웨어 신제품도 없었다.

애플은 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애플 본사에서 열린 WWDC 2025에서 새 UI 디자인 '리퀴드 글래스(Liquid Glass)'를 공개했다. 이 디자인은 알림창, 앱 아이콘, 제어 센터, 탐색창 등 주요 시스템 구성 요소에 유동적인 시각 효과를 제공하는 신규 UI다. 배경 화면 위에 여러 시각 레이어 효과를 주며, 콘텐츠 모입도와 인터페이스 연속성을 강화했다.

리퀴드 글래스는 2013년 iOS7 이후 12년 만에 이뤄진 애플 OS 디자인의 대대적인 개편이다. 이번 디자인은 아이폰뿐만 아니라 아이패드, 맥, 애플워치, 애플TV, MR 헤드셋 비전 프로까지 애플 생태계 전반에 적용된다. 앨런 다이 애플 휴먼 인터페이스 디자인 부사장은 “리퀴드 글래스는 가장 단순한 상호작용조차 마법처럼 느끼게 해주는 직관적이고 아름다운 인터페이스”라고 말했다.

운용체계 이름도 새롭게 정비됐다. 기존의 iOS18, iPadOS18, 워치OS11, 비전OS2 등 제품별 제각각이던 버전 체계를 '2026년형'이라는 해석이 가능한 'OS 26' 시리즈로 맞췄다. 앞으로 애플은 매년 회계연도 시작 시점인 10월부터 새로운 OS를 선보일 계획이다.

새로운 소프트웨어 디자인인 '리퀴드 글라스(Liquid Glass)'
새로운 소프트웨어 디자인인 '리퀴드 글라스(Liquid Glass)'

기능적으로는 일부 개선이 이뤄졌지만, 기대했던 AI 혁신은 나오지 않았다. 애플은 작년에 공개한 AI 플랫폼 '애플 인텔리전스'의 일부 신기능을 소개했지만, 대부분 기존 기술의 범위 내에 머물렀다는 평가가 나온다.

통화·페이스타임·메시지에서 AI가 실시간 번역을 지원하고, 모르는 번호로 걸려 온 전화에 발신자 정보를 식별해 주는 '통화 스크리닝' 기능이 대표적이다. 이 기능은 삼성전자가 지난해 출시한 갤럭시 S24 시리즈부터 제공하는 기능이다. 통화 번역의 경우 미국·영국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 일부 언어에만 적용돼, 글로벌 활용에 한계가 있다.

카메라나 화면 속 사물을 인식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비주얼 인텔리전스', 2D 사진을 3D로 변환하는 시각 기반 AI 기능 또한 정교함이나 응용 범위 측면에서 아직 초기 단계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하드웨어 신제품 부재도 아쉬움을 더했다. 이날 WWDC에서는 아이폰이나 맥 신제품은 물론, AI 관련 기기조차 공개되지 않았다. 개발자 중심 소프트웨어 행사 성격 외에 주목할 만한 '깜짝 발표'는 없었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애플 내부에선 이번 WWDC가 AI 측면에서 실망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며 “자칫하면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만 부각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업계는 지난달 구글이 개최한 연례 개발자 행사 'I/O 2025'와 비교해 '볼 것 없는 행사'라고 보고 있다. 구글은 이 행사에서 제미나이 기반의 AI 스마트 안경 프로토타입을 공개, 웨어러블 시장 재진출을 선언한 바 있다.

이 같은 실망감은 주가에도 반영됐다. 행사 당일 뉴욕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2% 하락한 201.45달러로 마감됐다. 애플이 WWDC 개최 이후 주가가 하락한 것은 2013년 이후 처음이다.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