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인사청문회 둘째 날 야당 공세에 대해 '제2의 논두렁 시계'이자 조작이라고 반박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 공약인 주 4.5일제와 관련해 실행 계획 등을 신중히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후보자는 25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야당 의원이 수상한 자금이라고 표현하는 대부분은 아주 쉽게 정리하면 저에 대한 표적 사정에서 시작된다”며 “결론적으로 내야 할 것은 다 내고 털릴 것은 털렸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야당은 이틀에 걸쳐 김 후보자의 지출이 세비보다 크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김 후보자는 축의금·조의금·출판기념회 수익 등이라고 반박했다.
김 후보자는 “지난 20년간 각종 수입은 표적 사정에서 시작된 추징, 추징과 연관된 증여세, 이를 갚기 위한 사적 채무를 갚는 데 쓰였다”면서 “세비와 세비 외 수입으로 추징금을 갚았다. 사적 채무를 일으켜 증여세를 정리했다”고 설명했다. 또 “사적 채무는 대출을 통해 갚았다. 지인들에게 매우 투명하게 빌려서 다 갚았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씨가 포함된 '우검회'라는 검찰 내 하나회 조직이 관련돼 있었다는 것이 청문회 시작 후에 나와서 다행스럽게 지켜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출판기념회 수입 내역 공개 요구와도 선을 그었다. 기존 정치 관례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취지다. 김 후보자는 “자료를 낼 수도 있지만, 정치 신인과 정치 전체에 대한 책임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이재명 대통령 대선 공약 중 하나인 주 4.5일 근무제와 관련해 “포괄적인 방향을 일단 제시한 것으로, 실행 계획은 추가로 논의해야 한다”며 “현실 정책에 도입하는 것은 어디부터 할 것이냐, 어떻게 할 것이냐,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할 것이냐, 경제적 보상은 어떻게 할 것이냐, 우리가 과연 다 감당할 수 있느냐 등 굉장히 많은 토론 거리가 있다”고 부연했다.
또 정년 연장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논의, 우리 사회의 수용성 등 다양하게 봐야 할 문제여서 총리가 되면 산하 국책연구원에 특별히 본격적 연구를 한번 의뢰해 보면 어떨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현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착시 현상을 주의해야 할 상황”이라며 “선량한 측면이 있는 정책적 효과가 혹시라도 물가의 자극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문제를 포함한 여러 측면이 있어 굉장히 유념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세종 행정수도 완성 공약과 관련해 이 대통령이 언급한 '사회적 합의'에 관한 질문에는 “국회의사당 및 대통령 집무실의 이전을 포함하는 것으로 실제 실행하려면 최소한 헌법 개정에 준하거나 일정한 특별법으로 처리해도 좋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판단을 하셨을 것”이라고 답했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