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역성장 전자산업, 대책 없나

[사설]역성장 전자산업, 대책 없나

지난 5년 동안 반도체를 빼면 전자 부문 생산과 수출 모두 뒷걸음질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가 최근 발간한 '한·중·일 전자산업 주요 품목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는 8개 주요 전자 품목 가운데 6개 품목의 생산액이 5년 전인 2013년보다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컬러TV는 2013년 생산액이 6조8994억원이었지만 지난해 3조7143억원에 그쳐 5년 사이에 연평균 11.6% 감소했다. 휴대폰도 같은 기간 37조2166억원에서 19조7712억원의 절반 수준으로 추락했다. PC(-16.9%), 모니터(-6.5%), PCB(-4.3%), LCD(-12.1%) 등도 최근 5년 동안 모두 연평균 성장률이 마이너스였다.

그나마 반도체만 성장했다. 반도체 가운데 소자 생산액은 2013년 2조5027억원에서 2조7924억원으로 연평균 2.2% 늘었다. 집적회로(IC)는 53조9264억원에서 122조9084억원으로 2배 이상 급증했다. 수출액도 컬러TV, 휴대폰, PC, 모니터, 인쇄회로기판(PCB) 등은 모두 2013년에 비해 줄었지만 반도체만 유일하게 상승했다. 반면에 일본은 같은 기간 PC(2.0%), 모니터(3.4%), 반도체(7.1%) 등 3개 품목의 생산액이 연평균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PCB(-0.6%), 반도체소자(-3.1%), LCD(-2.5%) 등도 감소폭이 크지 않았다.

전자 산업은 대한민국 경제를 이끈 견인차였다. 산업이라고 부르기 민망한 경제 불모지에서 맨 처음 산업의 씨앗을 뿌렸다. 산업화를 넘어 정보화 시대 주도에도 기여했다. 수출 10대 강국, 3만달러도 전자 산업이 없었다면 쉽지 않았다. 전자 산업의 생산과 수출이 이전과 같지 않다는 사실은 다른 산업도 상황이 심각하다는 이야기다. 전자 산업을 포함한 제조업이 어려운 상황에 빠진 배경은 두 가지다. 하나는 주요 기업이 국내 경제가 예전같이 않아 생산기지를 해외로 옮기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확실한 성장 전략을 찾지 못한 것도 주된 배경이다. 기존 전통 제조업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로운 동력을 찾아야 한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불리는 4차 산업혁명의 고삐를 더 바짝 죄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