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공모 절차를 거쳐 박형준 성균관대 행정학과 교수 등 4명을 비상임이사로 선임했다고 11일 밝혔다. 사회보장정보원은 경영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박형준·신성식·안지영·정여진 비상임이사 4명을 신규 선임했고,
-
사회보장정보원, 비상임이사 4명 신규 선임2025-03-11 09:15
-
ETRI, 디지털로 상수도 관망 관리 혁신 '광역 지자체 확장 추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상수도 관망 관리 기술혁신을 선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관망 운영·유지관리 효율과 수돗물 공급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ETRI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종합 분석해 상수 관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 상황을 탐
2025-03-11 08:47 -
KAIST 세계 최고 암모니아 촉매 개발…저온·저압 합성 성능 7배 높아
액화가 쉬운 암모니아 형태 수소 저장 연구가 널리 진행되는 가운데,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연구진이 고성능 촉매를 구현했다. 매우 낮은 온도·압력에서도 에너지 손실 없이 암모니아를 합성할 수 있다. KAIST는 최민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에너지 소비
2025-03-11 08:14 -
HLB그룹, 애니젠 인수…펩타이드 기술 내재화
HLB그룹이 국내에 펩타이드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인증 공장을 보유한 에니젠을 인수한다. 최근 글루카곤 유사펩타이드-1(GLP-1) 계열 비만치료제 등으로 주목받는 펩타이드 제조 기술을 확보했다. 애니젠은 10일 150억원 규모 3자 배정 유상증자에 HLB그룹 계열
2025-03-10 20:27 -
과학자 40명이 풀어낸 영화 속 과학 원리...'웰컴 투 과학극장' 출간
40명의 과학자가 참여해 풀어낸 영화 속 과학 원리를 집대성한 책이 출간됐다. '웰컴 투 과학극장'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국내 유수 연구기관 과학자 40여명이 참여해 SF영화 속 과학적 요소를 심
2025-03-10 17:09 -
KATRI시험연구원, 소음 분야 환경측정기기 검사기관에 추가 지정
KATRI시험연구원(원장 신동준, 이하 KATRI)은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기술 능력, 시설, 장비 등을 갖추고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소음 분야 환경측정기 검사기관'으로 지정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소음측정기 검사기관 추가 지정
2025-03-10 16:53 -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AI대전환 골든타임, 데이터 활용 확대·표준화 필수
정부와 산업계가 바이오헬스 인공지능(AI) 전환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의료데이터 활용 확대와 표준화가 필수라고 입을 모았다. 민간에선 정부 차원의 규제개선과 국가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0일 국회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 창립총회 및 세미나
2025-03-10 16:01 -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디지털전환 전문가 총집결, '국민건강·산업혁신' 모두 잡는다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은 산업 뼈대를 이루는 △제약·바이오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3개 분과로 구성하고, 최고 전문가들이 참여돼 다양한 정책을 제안할 예정이다. 분기별로 진행하는 토론회를 통해 현 상황을 진단하고, 산업 경쟁력 강화와 국민건강 증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
2025-03-10 16:00 -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GPU 부재·데이터 접근 차단 현실, 연합학습이 의료 AI 고도화 대안”
박래웅 아주대 의료정보연구센터장은 10일 국회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 창립총회에서 '연합학습' 기법을 활용한 차세대 의료 인공지능(AI) 구축을 화두로 제시했다. 연합학습이란 각 병원에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프라를 분산 배치하고, 병원 내 의료데이터를
2025-03-10 16:00 -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의료데이터 산업, 규제 완화·데이터 표준화가 핵심”
“세계적으로 의료데이터 활용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한국이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규제 완화와 데이터 표준화, 기술 인프라 구축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10일 국회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 창립총회 및 세미나에서 강민수 을
2025-03-10 16:00 -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최수진 공동의장 “정밀 의료-AI·빅데이터 접목, 국민 건강 증진 해결 기대”
“지역 의료 불균형과 필수 의료 접근성 문제는 우리가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입니다. 의료 데이터 기반 정밀의료와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한다면 국민 건강 증진과 의료 체계 효율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최수진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 공동의장(
2025-03-10 16:00 -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장 “미래 바이오헬스 환경 맞는 법·제도 도출 노력”
“포럼을 통해 제약·바이오/의료기기/의료 서비스 등 분과별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분기별 정책 토론회와 콘퍼런스 등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포럼을 거쳐 인공지능(AI)디지털헬스육성특별법(가칭)을 제정하고, 바이오헬스와 ICT업계의 네트워킹과 협업 모델도 도출하겠습니다”
2025-03-10 16:00 -
[관망경]힘 빠진 복지부, 힘 얻는 의사
“허탈하다. 1년간 모진 비난을 참았는데...” 지난 7일 교육부가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겠다고 발표한 뒤 보건복지부 내부 분위기다. 지난 1년간 고강도 업무와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의대증원을 포함한
2025-03-10 16:00 -
바이오헬스 디지털혁신포럼 세미나
바이오헬스디지털혁신포럼이 창립 총회 및 세미나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전상표 대한의료데이터협회 부회장을 좌장으로 패널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김정대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융합산업과장, 김수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이터진흥과장, 백영하 보건복
2025-03-10 15:56 -
기조발표하는 박래웅 아주대 의료정보연구센터장
바이오헬스디지털혁신포럼이 창립 총회 및 세미나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렸다. 박래웅 아주대 의료정보연구센터장이 '미래의료혁신을 위한 범국가적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2025-03-10 1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