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모바일금융 보안 강화하되 새 규제 안 돼야

국민메신저로 불릴 만큼 넓은 층의 가입자를 확보한 다음카카오가 다음달 6일부터 전자지갑(뱅크월렛)인 카카오월렛을 서비스할 계획이다. 시장규모만 93조원이다. 카카오월렛은 10만원 미만의 소액 송금이 가능한 서비스로 지인간의 경조사비용이나 동창회비를 보낼 수 있다.

정보통신기술(ICT)기업들의 금융서비스 진출은 이미 예고됐지만 통신사와 스마트폰 제조사, 인터넷 메신저 업체까지 출사표를 던지면서 조만간 금융빅뱅이 현실이 될 전망이다. 카카오월렛의 소액송금 시장 도전장은 금융결제원과 은행들의 모바일 이체·결제서비스인 뱅크월렛 시장 활성화를 돕는 지원군 역할을 할 수 있다. 16개 주요 은행 7만5000개 현금인출 자동화기기와 연결됐다고 하니 시장 확대는 편리함을 추구하는 소비자 손을 통해 확산일로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문제는 편리함 속을 파고들 불법의 그림자다. 카카오톡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킹 서비스다. 친구를 빙자한 피싱·스미싱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지인을 위장해 무료쿠폰을 제공한다던지 돌잔치, 결혼식 등을 알리면서 메시지 내에 악성코드를 심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가 확대될 경우 피싱은 물론 정보탈취, 소액결제와 연계된 신종 사기수법 출현의 등장도 예측 가능하다. 이러한 부작용은 자칫 건전하고 편리한 디지털 금융시장 성장을 가로막는다. 철저한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

이를 인식한 듯 금융당국은 최근 ‘ICT 융합 신종금융서비스 규율현황’ 연구영역을 발주했다. ICT금융 서비스에 대한 꼼꼼한 점검을 통해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 하겠다는 의지다. 다소 늦었지만 다행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피해를 막을 수는 없다. 금융당국의 철저한 보안성 검토와 함께 소비자 스스로 피해를 예방할 능력을 키우는 방안도 찾아야 한다.

보안성 강화야 백번 지당한 말이나 자칫 비 금융사의 시장 진입을 가로막는 장벽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없다. 모바일 보안 기술도 상당한 수준에 오른만큼 혁신적 금융기술 수용에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