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 마비 치료 길 열렸다

김정범 UNIST 교수팀, 환자 맞춤 운동신경 세포 개발

김정범 UNIST 교수(왼쪽)와 이현아 연구원.
김정범 UNIST 교수(왼쪽)와 이현아 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척수 마비를 치료할 수 있는 운동신경 세포를 개발했다. 교통사고, 산업재해로 인한 척수 손상, 루게릭병 같은 운동신경 세포 파괴 질환 치료에 적용 가능하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총장 이용훈)은 김정범 생명과학부 교수팀이 척수 손상 환자의 피부세포에 유전인자 두 종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환자 맞춤형 '운동신경 세포'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이 세포를 동물실험에 적용해 손상된 운동신경 세포의 재생능력을 확인했다.

운동신경 세포 제작 과정과 척수 손상 동물실험에서 치료 효과 검증.
운동신경 세포 제작 과정과 척수 손상 동물실험에서 치료 효과 검증.

척수 손상을 치료하는 약물이나 수술은 효과가 작고 심각한 부작용도 안고 있다. 줄기세포로 손상 조직을 재생하는 세포 치료제가 주목받는 이유다.

척수 구성 세포 가운데 운동기능을 조절하는 운동신경 세포는 척수 손상을 치료할 수 있는 유력한 세포 치료제 후보로 꼽혀왔다.

하지만 기존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얻은 운동신경 세포는 암 발생 가능성이 있어 환자에게 직접 적용하기 어려웠다.

김 교수팀은 환자의 피부세포에서 직접 운동신경 세포를 확보하는 '직접교차분화'기술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직접교차분화는 다 자란 성체세포를 다른 세포처럼 기능할 수 있게 분화한 것으로, 모든 세포로 분화 가능한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분화와 달리 발암 가능성이 적다.

김정범 교수는 “기존 운동신경 세포 확보 기술이 지닌 한계를 극복한 직접교차분화 기술이 핵심”이라며 “기존 줄기세포치료제의 면역거부반응과 암 발생 문제를 해소하고, 임상 적용에 필요한 세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 지원을 받아 UNIST와 김정범 교수가 창업한 슈파인세라퓨틱스가 공동 진행했다. 연구 성과는 유럽분자생물학회 학술지 '이라이프' 온라인판 6월 23일자에 실렸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