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마케팅 패러다임 전환

요즘 가전 홍보 담당자의 눈치 게임이 한창이다. 가전 신제품 출시나 홍보 행사를 누가 먼저, 어떻게 열지를 두고 벌어지는 신경전이다. 코로나19로 거리 두기를 실천하는 와중에 혹시나 있을지 모르는 위험을 누가 먼저 감수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대기업보다 중소·중견 가전업체 담당자의 근심은 더 심각하다. 대체로 한정된 예산으로 열리는 행사이다 보니 담당자나 회사 입장에서는 위험 부담이 더 크다.

우선 좌석마다 거리를 널찍이 두고 배치하면 공간 대여료가 크게 뛴다. 행사를 연다고 해도 많은 사람이 모일지는 미지수다. 온라인 행사를 시도하는 기업도 있지만 행사장을 온라인 화면으로 그대로 옮긴 것만으로는 참여와 관심도가 크게 떨어진다는 결론이 나올 뿐이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중소기업은 행사라도 열지 않으면 존재감이 아예 없어진다”면서 “확진자 수가 감소되기만 기다릴 뿐”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코로나19 재확산 움직임이 보이는 상황에서 많은 사람을 모아야 하는 행사는 가능하면 지양하는 게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업의 사정은 절박하다.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그렇다면 새로운 방식을 찾아야 한다. 마케팅도 혁신을 통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기존 방식'을 벗어나 소비자와 미디어에 제품, 서비스, 기업을 소개할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유튜브 채널 등을 활용해 최고경영자(CEO)가 등장해서 실시간으로 미디어 및 소비자와 소통하는 것도 이미 고전 방식이 됐다. '행사는, 마케팅은 꼭 이래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벗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마케팅 문화를 꾸며 갈 도전과 파격이 필요하다. 정답은 없다. 누군가 답을 찾았다면 이미 많은 사람이 이를 따라 하고 있을 것이다.

코로나19로 세상이 바뀌었다. 수많은 사람을 한곳에 모아서 신제품 공개에 환호하며 사진 플래시를 터뜨리는 행사는 이미 '과거 모습'이다. 새로운 세상에 적응해야 한다. 누가 먼저 가전 산업의 핵심 소비층인 '밀레니얼 세대'의 미디어 소비 습성과 특징을 파악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여기서부터 방법을 찾아가면 된다.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