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30분만에 리튬-황 전지용 양극재 합성 기술 개발

포스텍 연구팀이 정유 처리 부산물로 여겨졌던 황을 이용해 30분 만에 리튬-황 전지 양극재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포스텍(POSTECH·총장 김무환)은 박문정 화학과 교수·통합과정 강한얼 씨 연구팀이 고에너지 밀도, 고속 충전, 기계적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리튬-황((Li-S) 전지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추가적인 용매나 개시제, 계면활성제, 입체 안정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30분 이내 빠른 반응시간을 통해 계층적으로 정렬된 형태의 역가황 고분자 입자를 합성한 첫 번째 사례다.

박문정 교수(오른쪽)와 강한얼 씨
박문정 교수(오른쪽)와 강한얼 씨

현재 사용되는 고독성 전이 금속계 양극 재료와 달리, 황은 값이 싸고 풍부하며 독성이 적다는 점 때문에 주목받고 있는 물질이다. 특히, 리튬-황 배터리는 높은 이론적 에너지 밀도로 높은 용량을 저장할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가능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황은 근본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를 가지기 때문에 활성 물질의 완전한 활용을 방해해 충·방전 속도를 늦추고 전해질에 용해도가 높아 전지 수명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박문정 포스텍 교수
박문정 포스텍 교수

연구팀은 기존 황 전극과 달리 황의 함침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황과 비닐포스폰산(VPA) 역가황 반응을 이용한 공중합을 통해 30분 만에 황 기반 고분자 입자를 합성했다.

짧은 반응시간에 균일한 미세 입자를 형성할 수 있었던 열쇠는 황 라디칼과 VPA 자가 촉매 반응 때문이다. VPA가 부착된 긴 황 사슬이 반응 초기에 형성되어 계면활성제 없이도 SVPA의 구형 형태 안정화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간단한 합성법을 바탕으로 활물질 자체에 다공성 구조를 도입해 전해질 침투를 쉽게 하고 낮은 부피 팽창을 갖는 황 동소체를 이용해 전극의 기계적 무결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박문정 교수는 “포스폰산 그룹이 풍부한 역가황 고분자를 저비용-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합성해 유연한 리튬-황 전지를 개발했다”며 “상용화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리튬폴리설파이드 용출 문제를 화학적으로 억제했고 유연한 특성을 부가하기 어려운 황 양극에 이러한 새로운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지 등으로 그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밝혔다.

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이공분야),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혼성계면 화학구조 연구센터-이공분야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에너지 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인 '나노 에너지'에 온라인 속보로 게재됐다.

포항=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