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외곽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 출범…“차기 정부는 기업가적 정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의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 출범식에서 유종일(왼쪽)·허민 상임 공동대표가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의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 출범식에서 유종일(왼쪽)·허민 상임 공동대표가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의 외곽 싱크탱크로 평가받는 '성장과 통합'이 공식적으로 닻을 올렸다. 이들은 AI(인공지능) 대전환을 바탕으로 한 미래 청사진을 공개했다. 아울러 차기 정부는 기업가 정신을 바탕으로 한 기업가적 정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종일 성장과 통합 공동상임대표는 16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성장과 통합은) 윤석열 정부의 만행과 폭주로 인해 무너진 대한민국과 고통받는 국민에게 새로운 희망을 선사할 대한민국 재건 프로젝트”라며 “경제 성장과 국민 통합이 이뤄지는 나라, 다시 빛나는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 빛의 혁명을 최종 완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성장과 통합은 학자와 전직 관료 중심으로 꾸려진 조직으로 당 외곽에서 공약을 개발하거나 이 후보에게 정책을 조언하는 역할을 할 전망이다. 공동상임임대표는 유 대표와 함께 허민 전남대학교 교수가 맡았다. 또 장병탁 서울대 인공지능(AI)연구원장과 김진아 한국외대 LD학부 교수, 김양희 대구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등은 비상임 공동대표로 참여한다.

이날 '성장과 출범'은 2030년까지 '3% 잠재성장률, 세계 4대 수출강국,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는 '3·4·5 성장전략'을 국가 비전으로 제시했다.

핵심은 AI 대전환이다. 유 대표는 “대한민국이 AI 시대에서 앞서갈 수 있어야 한다. 인프라 구축·인재양성부터 산업, AI 정부, AI 국제기구 유치까지 대한민국이 명실상부 AI 시대의 선도국이 되기 위한 정책을 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특히 제조업의 AI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대표는 “제조업을 반드시 되살려야한다. 그동안의 제조업 노하우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휴머노이드, 디지털 트윈, 자율 제조 등 제조업 AI 대전환을 이뤄야 한다”면서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많은 일자리가 생길 것이다. 젊은이들이 데이터 전문가로서 일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많이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AI 대전환을 위한 좋은 품질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대책을 빨리 세우겠다”고 부연했다.

성장과 통합은 차기 정부가 AI 분야에 대한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과정에서 '기업가 정신'을 바탕으로 한 '기업가적 정부'를 제안했다.

유 대표는 “AI 대전환을 바탕으로 한 경제를 시장에만 맡길 수는 없다. 정부가 기획을 해야 한다”면서 “기존의 것을 관리하는 정부는 곤란하다. 기획·혁신하고 그것을 위해 필요한 실행력을 담보하고 위험부담도 감수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마중물 투자를 하고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한다. 시대에 맞지 않는 규제는 혁신해서 민간이 새로운 산업을 일으키고 경제성장을 할 수 있는 판을 깔아주는 기업가 정신을 갖춘 기업가적 정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