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정부, 디지털 생태계 조성자 역할 맡아야”…현장 교사들 디지털교육 나아가야 할 방향 모색

‘국민주권정부, 디지털교육 정책 방향 정립을 위한 연속 토론회 1차’ 열려
지난 18일 국회 국회의원회관에서 교사·학부모·교육기관·산학연 등 교육 현장 당사자의 의견 수렴을 위한 '국민주권정부, 디지털교육 정책 방향 정립을 위한 연속 토론회 1차'가 개최됐다.
지난 18일 국회 국회의원회관에서 교사·학부모·교육기관·산학연 등 교육 현장 당사자의 의견 수렴을 위한 '국민주권정부, 디지털교육 정책 방향 정립을 위한 연속 토론회 1차'가 개최됐다.

디지털교육의 정책 방향 정립을 위해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들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김문수 국회 교육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민주권정부, 디지털교육 정책 방향 정립을 위한 연속 토론회 1차'를 1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했다.

토론회는 새 정부 출범에 발맞춰 △국민 누구에게나 기회가 균등한 교육을 위한 정책 방향 수립 △인공지능(AI) 시대, 디지털 교육 정책의 중요성을 감안한 의제 선정 등을 위해 교사·학부모·교육기관·산학연 등 교육 현장 당사자의 의견을 경청하는 취지로 연속해서 열린다.

첫 토론회는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열렸으며 김문수 의원을 비롯해 조기성 서울 계성초등학교 교사, 김차명 경기 광명서초등학교 교사, 박준호 경기 반송초등학교 교사, 황성진 대구 남동초등학교 교사, 박병준 경남 창원여자고등학교 교사, 이승훈 민주연구원 자문위원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디지털교육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전반적인 토론이 이어졌다. 이 가운데 정부가 '디지털 생태계 조성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그동안의 정부 정책이 에듀테크 서비스의 공급자로서만 기능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박준호 교사는 “새 정부의 디지털 교육 정책은 공정한 환경 조성자로서 역할을 명확히 해야 한다”면서 “민간 플랫폼과 공공 플랫폼이 상생하도록 공통 표준·API를 개방하고 학교가 다원적 에듀테크 솔루션을 선택·결합할 수 있는 시장 구조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교사는 “교육 특례를 포함한 데이터 3법 개정으로 학습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고, CSAP 규제 완화 혹은 국가 교육데이터센터 구축으로 인프라 장벽을 낮춰야 한다”며 “국산 LLM·LMM 개발을 위한 AI R&D 투자를 확대해 교실 데이터를 학습한 한국형 모델이 현장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에듀플러스]“정부, 디지털 생태계 조성자 역할 맡아야”…현장 교사들 디지털교육 나아가야 할 방향 모색

정부 주도로 만든 디지털교육 콘텐츠를 국가 차원에서 '교육 자산'으로 공식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황성진 교사는 “그동안 공들여 개발한 디지털 교육 자산들이 사실상 방치되거나 폐기되는 현실이 존재한다”면서 “디지털교육 콘텐츠 개발이 일회성 사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유지·보수와 활용이 가능하도록 예산과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디지털교육 플랫폼의 중복으로 인한 예산 낭비에 관한 지적도 나왔다. 현재 교육부, EBS, KERIS가 개발한 플랫폼을 비롯해 AI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각 시도교육청의 자체 플랫폼 간 중복 문제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박병준 교사는 “기존에 만들어져 있는 플랫폼들의 기능 중복으로 현장의 혼선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새로운 플랫폼을 만들려는 시도보다 기존 플랫폼의 중복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기성 계성초 교사는 AI 시대의 교육 데이터의 중요성에 대해 짚었다. 조 교사는 “AI가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금융에서 마이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금융을 관리하듯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를 학교에 다니기 시작할 때부터 누적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전환의 학교 내 정착 방안에 관한 논의도 진행됐다. 김차명 교사는 “정책 실행에 있어 기술 홍보보다 중요한 것은 현장의 감정과 맥락을 읽고,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일”이라면서 “디지털 전환이 교사에게 '귀찮은 일'이 아니라 '도움이 되는 일'로 인식돼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이번 토론회와 관련해 김문수 의원은 “디지털교육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교육 현장 당사자들의 의견 수렴을 위한 차원에서 마련했다”며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정책 방향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마송은 기자 runni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