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AI 휴머노이드 시대]〈상〉전 세계 각축전...연구 경쟁 점화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가 화두다. AI가 PC·스마트폰에서 벗어나 로봇을 매개로 확장되는 청사진에 산업계는 물론 대중도 주목한다. 선진국, 거대 기업이 기술 확보에 뛰어들었다. 국내에서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2025-06-04 14:01
  • 기사 썸네일
    ETRI, '6G 인사이트 백서 v2.0' 발간...6G 핵심 기술 로드맵 담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미래 6G 이동통신 시대 방향성·핵심기술을 담은 '6G 인사이트: 비전과 기술 백서 v2.0'을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백서는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6G 기술 종합 발전 방향을 정리한 자료로, 국내·외 산업계, 학계

    2025-06-04 13:51
  • 기사 썸네일
    '도심 옥상서 만나는 '가락서가' 가락몰 하늘공원, 야외도서관으로 변신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서울 송파구 가락몰 3층 하늘공원이 오는 7일부터 15일까지 9일간 '가락서가(加樂書架)'라는 이름의 야외 도서관으로 탈바꿈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가 주최·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주말에는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6시, 평일에는 오전

    2025-06-04 13:42
  • 기사 썸네일
    노후 콘크리트 비탈면 '생태복원' 길 열려...비탈면 보호하고 유지관리 비용↓

    숏크리트는 비탈면 풍화·붕괴를 방지하는 대표적인 공법인데,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화되고 경관과 생태계 훼손, 유지관리 어려움 등 문제가 지속된다. 우리 연구진이 이런 숏크리트 기능은 유지하면서 생태복원이 가능한 '콘크리트 비탈면 생태복원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

    2025-06-04 13:00
  • 기사 썸네일
    'e-CCU 산업화 선도' 오형석 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장, 6월 과학기술인상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6월 수상자로 오형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장을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오 센터장은 이산화탄소를 에틸렌, 에탄올, 합성가스 등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하는 요소기술 및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

    2025-06-04 12:00
  • 기사 썸네일
    KAIST, 온도 반응해 말랑·딱딱해지는 '전자잉크' 구현

    국내 연구진이 온도에 따라 딱딱함·부드러움을 전환할 수 있는'액체금속 전자잉크'를 개발했다. 가변 강성 전자기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연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정재중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팀이 박성준 서울대 교수팀, 스티브박 KAIST 신소재공학

    2025-06-04 11:35
  • 기사 썸네일
    인하대, 텔루렌 기반 초저전력 트랜지스터 개발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이문상·함명관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2차원(2D) 나노 소재인 텔루렌을 활용해 뉴로모픽 시냅스 기능과 디지털 논리 연산 기능을 단일 소자에서 동시에 구현한 초저전력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동국대, 숙명여대와 공

    2025-06-04 11:30
  • 기사 썸네일
    특구재단, 북미·유럽 권역 협력거점 활용 딥테크 글로벌 진출 전주기 지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딥테크 기반 유망기업 해외 진출 및 글로벌 시장 기술 실증·사업화 기회 제공을 위한 위해 '협력거점 기반 글로벌 PoC(Proof of Concept)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유망기술을 보유한 연구개발특구 소재 기업을

    2025-06-04 11:27
  • 기사 썸네일
    재능고, AI·로봇 융합 특강으로 실무 역량·진로 동기 강화

    인천 재능고등학교는 두산로보틱스 김효진 수석연구원을 초청해 '로봇과 인공지능(AI)의 융합: 미래 기술 이야기'를 주제로 전문가 특강을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이 특강은 고용노동부 주관, 대한상공회의소 서울기술교육센터 운영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양성사업'의 일환으로,

    2025-06-04 02:27
  • 기사 썸네일
    [새정부 핵심 과제] 〈4〉과학기술 R&D 생태계 복원

    과학기술계는 '연구개발(R&D) 생태계 복원'을 새정부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지난 정부에서 유독 부침이 심했던 과기계는 충분한 예산 지원과 사기 진작을 바탕으로 'K-과학기술'의 우월성을 되살리고, 더욱 큰 발전을 이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지난 2023년 과기계에

    2025-06-03 23:18
  • 기사 썸네일
    원자력연, 대만 국립칭화대 대표단과 R&D 협력 강화 논의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일 대만 국립칭화대 대표단이 연구원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대만 대표단은 대만원자력학회장인 예종광 국립칭화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를 포함한 교수진 5명으로 구성됐다. 대표단은 주한규 원장과 면담을 통해 한국과 대만 간의 원자력 연구개발(R&D) 분야 협력

    2025-06-03 15:15
  • 기사 썸네일
    김승우 KAIST 명예교수, '삼성호암상' 수상 기념 강연 개최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2025년 삼성호암상 공학상 수상자인 김승우 명예교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4일 KAIST 대전본원 기계공학동에서 '초정밀 측정 계측을 위한 초고속 포토닉스'를 주제로 '2025 김승우 명예교수 삼성호암상 수상기념 강연회'를

    2025-06-03 15:12
  • 기사 썸네일
    KAIST, '벽' 달리는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 개발...산악·험지 거뜬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의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Raibo)'가 계단, 틈, 벽, 잔해 등 불연속적이고 복잡한 지형에서도 고속 이동할 수 있게 됐다. 수직 벽을 달리고, 1.3m 폭 간격을 뛰어넘으며, 징검다리 위를 시속 약 14.4㎞로 질주하고, 30

    2025-06-03 15:10
  • 기사 썸네일
    아주대·워싱턴대, 장내 T세포 조절 메커니즘 새 분석법 개발

    아주대학교는 생명과학과 이재우 교수와 미국 워싱턴대 치 송 시에(Chyi-Song Hsieh) 교수 공동 연구팀이 장내 T세포 수용체(TCR)를 분류하고 체계화하는 새로운 분석법을 확립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장내 면역 환경에서 T세포가 음식물과 미생물 유래

    2025-06-02 17:07
  • 기사 썸네일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드림' 김정훈 대표 초청 6월 별의별 과학특강 개최

    국립중앙과학관은 매월 셋째 주 토요일에 개최하는 '별의별 과학특강' 6월 연사로 인기 과학 유튜버 '과학드림'의 운영자 김정훈 대표를 초청해 강연을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특강은 김 대표가 '무언가에 미치면 그것이 과학이 된다'를 주제로 일상 속 숨어 있는 다양

    2025-06-02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