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정상회담] 러시아 '한반도 신경제 구상'의 주요 변수

[평양정상회담] 러시아 '한반도 신경제 구상'의 주요 변수

러시아는 지난해 7월 중국과 함께 한반도 문제의 평화, 단계적 해결 방안을 담은 '로드맵'을 제안하고 주변국에게 이행을 촉구했다. 북미, 남북이 대화로 관계를 정상화하고 이후 다자협상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동북아 지역 안보체제를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러시아가 한반도 비핵화 문제 논의를 위한 남북정상회담 개최 환영 의사를 꾸준히 밝힌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주북 러시아 대사는 “남북한 화해는 긴장 완화, 상호 신뢰 분위기 조성, 상호 이해 고려 등을 촉진하고 군사적 긴장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평했다.

실제 이번 평양정상회담에서 합의한 군사 협정 등 평화 조약은 러시아가 제시한 로드맵과 방향성이 맞닿아 있다. 북미 회담이 진전되면 남·북·미·일·중·러 6자 회담을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주변국의 목소리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는 남북 경제협력 부문에서도 적지 않는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

문재인 대통령이 구상하는 한반도 신경제 구상에서 러시아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한반도 신경제 구상은 서해안·동해안·비무장지대 지역을 H자 형태로 동시 개발하는 남북 통합 개발 전략이다. 문 대통령은 4·27일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한반도 신경제 구상 관련 자료를 책자와 이동식저장장치(USB)를 직접 전달했다.

한반도 신경제 구상의 중심 축은 '3대 경제협력벨트' 구축이다. 동해권 에너지·자원벨트, 서해안 산업·물류·교통벨트, DMZ 환경·관광벨트 등이다. 실현되면 금강산, 원산·단천, 청진·나선에 이르는 동해권 에너지·자원벨트를 남북이 공동개발하고 그 연계망을 러시아 극동지역까지 넓힌다. 러시아는 에너지 자원 시장을 남북으로 확대, 안정적 수요처를 마련할 수 있다. 남북한 내 신규 액화천연가스(LNG), 석유 수요가 발생하고 공급 인프라 등을 놓고 다양한 협력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러시아는 최근 미국의 전방위 압박에 시달리는 중국과 에너지 분야 등 경제 협력에도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6일 한정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을 만난 자리에서 “양국 투자와 에너지 협력이 알찬 성과를 거두도록 해야 하며 배송관, 전선 등 협력 프로젝트를 가속하고 디지털 경제, 우주, 바이오 분야 등에서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호 산업정책부기자 snoop@etnews.com